중국에서 라이브방송과 라이브쇼핑채널이 일반화하면서 이번엔 ‘라이브 골동품 판매 사기’ 경보령이 울렸다. 골동품 전문가인양 1인 미디어방송을 하면서 구독자를 모으고, 구독자들을 대상으로 골동품을 파는데, 실은 가짜 골동품이었던 것이다. 피해 사례가 늘면서 중국 당국이 조사까지 나선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노인들이 인터넷 라이브 방송에서 가짜 골동품, 옥석, 수집품 등을 맹목적으로 구매하는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현실에서 검소하게 생활하는 노인들이 라이브 방송에서는 큰돈을 지출하며, 자녀들이 이를 발견했을 때는 이미 노인들이 높은 금액의 대출을 안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고 전했다. 사리분별이 빠르지 못한 노인들을 겨냥한 전형적인 사기인 셈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이 같은 사기는 금적전 피해 못지않게 심리적 사회 피해를 야기하고 있었다. 피해 노인들이 심리적 충격에 빠지면서 자녀들은 환불과 권리 보호의 어려움보다, 노인들의 심리 상태를 더 걱정했다. 많은 노인들이 자신이 사기를 당했다는 것을 믿지 않고, 구매한 가짜 골동품, 옥석, 우표, 수집 화폐 등이 얼마 지나지 않아 고가에 회수되거나 가치가 수천 배로 증가할 것이라고 굳게
중국 기술 중소기업 1곳 당 평균 22.3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기술 중소기업 육성 정책에 힘입은 덕이다. 이 같은 기술 중소기업은 언제든 유니콘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어 주목된다. 중국 지식 재산권국은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강소기업(작은 거인 기업)'이 약 1만 4600여 개에 달하며, '전정특신' 중소기업은 14만 개를 넘어섰으며, 이들 기업의 보유 특허 건수가 총 32만 7400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이들을 기업을 '전정특신(專精特新, 전문화·정밀화·특색화·혁신화)' 기업으로 묶어 관리하고 지원하고 있다. 재산권국은 이들 중소기업의 혁신과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부처가 일련의 지원 정책을 도입했다고 강조했다. 재산권국에 따르면 '전정특신' 강소기업은 활발한 지식 재산권 산출과 높은 발명 특허 밀도를 특징으로 한다. 현재 이러한 강소기업은 기업당 평균 22.3건의 특허를 보유해 전국 기업 전체 발명 특허의 11%를 차지하고 있다. 또 강소기업의 연구 인력 1000명당 평균 발명 특허 수는 364건에 달하며, 연구개발비 1억 위안당 평균 발명 특허 수는 72.7건으로 집계됐다. 공업정보화부 중소기업국 관계자는
‘총애를 받는다’는 게 무엇인가? 신뢰, 믿음을 얻는 것이다. 옛날엔 군왕에게 중용되는 것이요, 요즘엔 민심을 얻어 득표를 하는 것이다. 총애의 반대가 무엇인가? 총애를 잃는 것, 욕(辱)을 보는 것이다. 옛날엔 삭탈관직이요, 오늘엔 낙선, 파면파직이다. 총애는 얻으면 기쁘고 욕을 보면 분하고 슬프다. 사람이라면 모두가 그렇다. 인지상정이다. 기쁘건 슬프건 분노가 치밀건 사실 이유는 모두 한 가지다. 자신(自身)의 욕망 탓이다. 잘 했다 평가 받고, 더 높은 직위에 올라 더 많은 권한을 갖고 싶은 그런 욕망 때문이다. 총애를 얻거나 욕을 먹어서 받는 기쁨, 분노의 크기는 그런 자신의 욕망의 크기에 비례하는 것이다. 욕망이 없다면 어찌 기쁘고 어찌 슬플까? 어찌 분노하겠는가? 하지만 대업(大業)은 스스로 욕망(慾望)을 버리고 자신(自身)을 희생해 모든 걸 쏟아야 이루는 법이다. 그런 이가 어찌 총애를 얻었다고 기뻐만 하며 어찌 총애를 잃었다고 분노만 하랴. 그저 묵묵히 자신의 길을 갈 뿐이다. 그런 이가 나랏일을 해야만 하고, 그런 이에게 나랏일을 맡길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노자는 “故贵以身为天下,若可寄天下;爱以身为天下,若可托天下” (고귀이신위천하, 즉가기
정말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난다면, 그 것은 중국과 미국의 전쟁이다. 군사력은 러시아가 2위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서 보여줬듯 러시아의 국력은 미국과 지속적인 전쟁을 수행할 수준이 못된다. 현재 미국의 적수는 없다. 유일하게 거스를 수 있는 게 중국이다. 중국은 대만 문제 등을 놓고 미국과 극적인 대립을 벌이고 있다. 대만이 세계 전쟁을 촉발시킬 탄약고로 주목받는 이유다. 이 같은 사실을 가장 잘 아는 나라가 미국이다. 그래서 미국은 중국의 군사력 변화를 세계 어느 나라보다 민감하게 살피고 있다. 최근 미 국방부는 중국의 군사력 평가에 대한 연례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는 “중국의 핵무기와 다른 군대가 강력하게 성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중국 해군이 "동아시아를 넘어 점차 범위를 확장하는 글로벌 전력으로 계속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핵무기와 관련한 언급이 주목된다. 보고서는 중국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약 135기의 장거리 핵 미사일 외에도 미국 본토를 위협할 수 있는 또 다른 옵션을 제공할 재래식 대륙간 탄도 미사일 생산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중국의 핵무기의 수를 정확히 공개하지 않았지만, 중국이 지난해부터 약
‘총 1,306건’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중국에서 신간 출시된 게임 숫자다. 전년동기 대비 무려 34% 가량 늘었다. 역대 최고치다. 중국의 게임 산업이 또 다른 성장 엔진을 가동하고 있어 주목된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중국에서 발급된 국산 네트워크 게임 판호는 총 1,306건으로 전년 대비 33.67% 증가했다. 수입 네트워크 게임 판호는 총 110건으로 전년 대비 12.24% 늘었다. 2024년 전체 네트워크 게임 판호 발급 건수는 총 1,416건으로 전년 대비 31.72% 증가했다고 한다. 더불어 2024년 중국 게임 시장의 실제 판매 수익과 게임 유저 규모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4년 중국 게임 시장의 실제 판매 수익은 3,257억 8,300만 위안(약 64조 5,506억 원)으로 전년 대비 7.53% 증가했다. 중국 게임 유저 규모는 6억 7,4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0.94% 증가했다고 한다. 중국 게임산업은 증시에서도 새해를 맞아 순조롭게 출발하고 있다. 7일 현재 게임 섹터는 오전장에서 계속 상승세를 보였고, 게임 ETF(159869)는 현재 약 1.5% 상승했다. 북위과기(北纬科技)와 성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마카오 특별행정구에 대해 “일국양제의 성공”이라며 “지속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은 포르투갈로부터의 중국 반환 25주년을 맞아 마카오를 방문 중이다. 지난 1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마카오 특별행정구를 방문해 주요 정부 관계자들과 사회 지도층을 만났다. 시진핑 주석은 마카오 행정·입법·사법 기관 책임자들과의 회견에서 "지난 5년간 마카오는 '일국양제' 방침을 충실히 실행하며 헌법과 기본법을 준수했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은 지난 2029년 반환 20주년을 기념해 마카오를 방문했었다. 그는 마카오가 빠른 발전을 이루고 안정과 번영을 유지한 점을 높이 치하하며 "중앙정부는 이를 충분히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어 새로운 행정부에 법치를 기반으로 발전을 지속하고 더욱 아름다운 마카오를 건설해 달라고 당부했다. 19일 저녁 열린 마카오 특별행정구 정부 주최 환영 만찬에서 시 주석은 "지난 5년은 마카오 역사상 중요한 시기였다"고 언급하며 팬데믹과 국제적 변화 속에서도 마카오가 경제 회복과 다원적 발전에서 성과를 거두었다고 강조했다. 또한 시 주석은 마카오가 이미 탄탄한 발전 기반을 마련했으며 중국의 강력한 후원을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국내총생산(GDP)이 130조 위안을 초과할 것이라며, 2025년을 맞아 중국은 "인류 운명 공동체 구축에 동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130조 위안은 한화로 약 2경6229조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시 주석은 중국 경제 강한 자신감을 내비치며 '과학자립국' 건설 목표도 재차 강조했다. 1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시 주석은 구랍 31일 중국 중앙방송총국(CMG)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신년사'를 발표했다. 신년사에서 시 주석은 "2024년은 평범하지 않은 한 해였으며 우리는 국내외 여러 도전에 직면했지만 이를 극복하고 중요한 성과를 이루어냈다"며 한 해를 회고했다. 그는 특히 중국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며 국내총생산(GDP)이 130조 위안(약 2경6229조원)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강조했다. 식량 생산 또한 7000억kg을 돌파하며 자국민의 식량 안보를 강화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신산업과 신기술 분야에서의 진전을 언급하며 "신에너지 자동차 연간 생산량이 1000만 대를 돌파했고, 집성회로, 인공지능, 양자통신 등 첨단 기술 영역에서도 새로운 성과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달 뒷면 샘플 채취에 성공한 '창어 6호'와 남
중국의 올 1~10월간 전통산업 수익이 전년동기 대비 5% 이상 성장했다. 흔희 의류, 가구, 생활가전 등의 제조업이 대표적인 전통산업이다. 전통산업은 산업고도화 하면서 쇠퇴한다. 한국의 섬유산업 역시 한 때 한국 경제를 지탱하는 주요 산업 중 하나였지만, 지금은 첨단 섬유 위주로 재편돼 유지되고 있다. 중국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빠르게 첨단 기술을 접목한 전통산업은 다시 매출을 늘리고 새로운 발전 방향을 찾아 가지만, 그렇지 못한 곳은 도태되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부가가치세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1~10월 중국 전통 산업의 판매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했다. 중국 당국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동안 전통 산업이 누린 과학기술 혁신 세제 혜택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1.5% 증가했다. 세제 혜택 정책 등 관련 정책의 지원에 힘입어 전통 산업의 판매 수입이 빠르게 증가했다. 올 1~10월 동안 의류, 가구, 가전 산업의 판매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다. 화학 섬유 및 고무·플라스틱 산업의 판매 수입은 각각 12.4%와 8.4% 증가했다
중국의 세수 증가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게 중국 내부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 증시가 지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 같은 추세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라는 고기압 층에 가로 막혀 있다는 게 서방 전문가들의 우려다. 간단히 글로벌 경제가 불확실한 데 중국 기업들만 홀로 성장한다는 게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그럴 경우 중국의 세수 감소가 나타나고, 재정정책으로 인한 피로 역시 누적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증권 전문가인 뤄즈헝은 부동산과 주식 시장이 현재의 회복세를 이어간다면 세수 증가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앙과 지방 정부가 자산 활성화와 국유 기관 이익 상납을 계속 확대한다면 비세수 수입도 증가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연간 일반 공공예산 수입 증가율이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전국 일반 공공예산 수입 증가율이 연초 예산 목표치(3.3%)를 달성하기에는 여전히 큰 도전이 따를 것이다. 재정 수입의 또 다른 중요한 원천인 정부성 기금 수입도 개선 조짐을 보였다. 지방 토지 매각 수입 감소폭 축소 등의 영향으로 정부성 기금 수입 감소폭이 다소 축소됐다.재정
‘1,286억 3000만 달러’ 한화로 약 186조 2,562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의 올 1~11월 집행된 비금융해외직접 투자액 규모다. 전년동기 대비 11% 이상 성장한 수치다. 비금융해외직접 투자는 대체로 해외 인프라 투자를 의미한다. 중국의 비금융해외직접 투자는 ‘일대일로’ 관련 철도 및 해운 항만 건설 지원금액이다. 중국은 이 같은 대외 투자를 통해 해외 영향력도 높이고, 정작 발주된 공사는 중국 기업들이 수행하도록 해 다시 투자금을 기업을 통해 회수하는 ‘꿩 먹고 알 먹는’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23일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정례 기자회견에서 이 같은 내용의 해외 비금융직접투자 현황을 발표했다. 기자회견을 주도한 상무부 대변인 허융첸은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중국의 비금융 분야 해외직접투자(FDI)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고 밝혔다. 투자금은 1,286억 3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한 수치다. 이 중, 중국 기업이 "일대일로" 공동 건설 참여 국가에 대해 진행한 비금융 분야 해외직접투자는 301억 7000만 달러(약 43조 6,861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