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일은 선후가 있고, 본말이 있다. 모든 게 순서가 있어 그 순서를 다르게 하면 같은 구성이라도 다른 결과가 나온다. 선은 선이요, 후는 후다. 본은 본이요, 말은 말이라는 의미다. 본말이 뒤집히면 ‘바늘 허리에 실 매어 쓰는’ 꼴이 된다. 겉으로는 그럴듯해 보여도 옷을 꿰맬 수 없듯 어떤 일이든 성과가 나오지 않는다. 스스로 총명하다는 이들이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이런 실수다. 전국책 제책편에는 ‘해대어’라는 고사가 나온다. 제나라 왕에 의해 설(薛) 땅의 제후가 된 전영(田嬰)이 성곽을 높이 쌓아 지역 방비도 강화하고 자신의 위상도 높이려 했다. 곧 많은 지역민들이 반대를 했다. 전영의 계획으로 백성들의 고통이 가중될 것을 우려한 것이다. 하지만 제후 전영은 이 같은 충언을 듣지 않았다. 부하에게 “객들을 더 이상 들여보내지 말라”고 명했다. 그러자 제나라의 한 사람이 찾아왔다. “내 딱 세 글자로 한마디만 할 터이니 제후를 만나도록 해주시오.” 그렇게 전영을 만난 이가 자신의 약속처럼 소리를 쳤다. "해海, 대어大魚!" 그러고는 다시 나가 버렸다. 놀란 전영이 소리쳤다. "그런데 이게 무슨 말인가? 이것보다 더 할 말이 있을 텐데." 그때서야 객이 말
중국에 한 때 '개미굴'이라는 형식의 주거 형태가 유행했다. 지방에서 도시로 올라온 농민공들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거주비를 감당할 수 없자 일부 건물주들이 지하 건물의 복도에 간이 형식의 방을 만들어 놓고 농민공들에게 대여를 해 주거하도록 한 것이다. 베이징, 상하이 등지의 도시에서 한 때 유행했다가 시진핑 정권 들어와 몇 차례 화재가 발생해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내자 당국이 단속을 해 없앴다. 개미굴이 다시 유행한다는 소리가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보아 농민공에게는 다른 형태의 주거 방식이 제공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미굴은 홍콩의 비둘기집에 비해서는 그래도 양반이라는 평을 듣는다. 홍콩 역시 주거비가 높기로 유명한데, 중국 본토에서 몰려든 노동자들이 방 하나에 2, 3층의 침대를 설치하고 살면서 비둘기들처럼 좁은 곳에 밀집해 있다고 해서 비둘기집이라고 불렀다. 중국 인구가 워낙 많다보니 가난한 이들의 주거환경은 개미굴이나 비둘기집처럼 열악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호텔에 '계단 객실'이 등장해 화제다. 중국 중추절·국경절 연휴(9월 29일~10월 6일) 여행 성수기를 앞두고 베이징의 한 호텔에 '계단 객실'까지 등장했다. 25일 중국 현재 매체 펑
스포츠는 극도의 신체적 경쟁을 하고도 승부가 나는 순간 가장 신사다운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그게 바로 스포츠 정신이다. 규정에 맞춰 최선을 다해 싸웠고, 경기를 이기려 했을 뿐 상대방을 미워하거나 증오하지 않는다는 정신이다. 내가 이겼어도 상대방을 무시하지 않고, 내가 졌어도 상대방을 미워하지 않는다. 스포츠가 아름다운 것은 바로 이런 스포츠 정신이 매 경기 살아 숨쉬기 때문이다. 최근 테니스 남자 단식에서 한국 선수가 이런 스포츠 정신을 보여주지 못해 논란이 됐다. 중국 네티즌들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안 그래도 미운 한국이라 그런지 한국까지 싸잡아 비난하고 있다. 사실 욕도 수준이 있다. 욕을 보면 욕하는 사람의 수준이 보인다. 아이가 잘못했다고 부모를 욕하는 이들의 수준이 높다고 할까? 아이여서 한 잘못을 모두 부모 책임이라고 하는 것은 그래도 그럴 수 있다고 해도, 5000만 인구 중 한 명이 잘못했다고 한국인 모두를 싸잡아 이야기하는 건 문제가 있다. 세계 랭킹 112위 권순우(당진시청 소속)가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테니스 남자 단식 2회전에서 탈락했다. 권순우는 25일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테니스 남자 단식 2회전에서 태국
'3조 7933억 위안' 한화로 약 695조 원이다. 중국의 8월 사회소비재 소매판매 총액이다. 사회소비재는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제품과 서비스가 모두 포함된다. 음식, 의류, 자동차, 전자제품, 문화공연, 운송수단 등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사회소비재 소매판매가 정체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중국 사회의 활기가 그만큼 떨어졌다는 의미다. 더불어 경기 침체의 조짐 우려도 커졌다. 그런데 8월 중국의 사회소비재 소매판매가 전년 동월 대비 4% 이상의 성장세를 보여 눈길을 끈다. 1~8월 누적으로는 전년동기 대비 7.0% 성장했다. 이 정도면 경기가 활성화됐다고 보기는 힘들어도 침체국면은 아닌 것으로 본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사회소비재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8월 사회소비재 소매판매 총액은 3조 7933억 위안(약 695조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6% 증가했다. 증가율은 전월 대비 2.1포인트 상승했다. 1~8월 누적 총액은 30조 228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했다. 소매 형태별로는 1~8월 규모이상 소매단위 중 편의점, 전문점, 브랜드매장, 백화점의 소매판매액이 전년 동기 대비 7.3% , 4.1% , 3.1% , 7.9% 증가했다.
연구개발(R&D)은 한 나라의 미래 자산을 가꾸는 일이다. 현재 글로벌 사회에서 톱 상태의 기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해도 R&D를 등한시 한다면 반드시 10년 이내 국가의 기술 수준이 뒤쳐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기술 수준은 뒤쳐졌다고 느끼는 순간이 이미 만회하기 어려운 경우기 대부분이다. 그런 이유로 기업에게만 기술 개발을 맡겨서도 안된다. 국가 차원에서 막대한 자금을 장기적으로 투자해 기초과학 기술 기반을 구축해야 글로벌 선두권의 산업 생태계가 유지된다. 간단히 미국을 보면 된다. 미국이 국방, 군사 관련 기술로 개발한 인터넷은 현재 전세계 사람들의 일반 생활의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인터넷 관련 기술들이 대부분 미국에서 나왔고, 미국 기업들은 빠르게 이 기술들을 기반으로 상업화에 성공했다. 중국은 늦었지만 이 같은 R&D의 중요성을 너무도 잘 알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도 등한시 하지 않지만 기업들 역시 R&D투자에 어느 때보다 적극적이다. 25일 중국차이푸망(中国财富网)에 따르면 중국 포춘이 최근 '500대 민영기업 연구개발(R&D) 투자액 순위'를 발표했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텐센트…
한국이 무형 자산 수출이 늘고 있다. 지식재산권, 특히 문화예술 저작권 수출이 눈에 띄게 늘고 있는 것이다. 점점 더 지능적인 산업 구조로 변신하고 있다는 의미다. 22일 한국은행이 올해 상반기 한국의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경상수지 항목 중 지식재산권 관련 국제거래 현황을 따로 모아 산출한 것으로, 대가를 받으면 수출, 대가를 지급하면 수입이 이뤄진 것으로 본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흑자는 3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000만 달러 증가했다. 이는 반기 기준 역대 최대였던 2019년 하반기(3억5000만 달러) 다음으로 큰 규모다. 상반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를 유형별로 보면 산업재산권 무역수지는 적자 규모가 지난해 3억7000만 달러에서 올해 10억8000만 달러로 확대됐다. 산업재산권 중 특허 및 실용실안권 적자 규모는 지난해 상반기 1억1000만 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5억7000만 달러로, 상표 및 프랜차이즈권 적자는 같은 기간 3억2000만 달러에서 5억2000만 달러로 늘어났다. 반면 저작권은 같은 기간 흑자 규모가 8억1000만 달러에서 15억2000만 달러로 늘어났다. 문화예
중국인 관광객, 즉 유커(游客) 유입으로 인한 내수 진작 특수를 누리기 위해서는 변화된 중국인의 소비패턴을 반영하는 중소·소상공인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2일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이 발표한 '중국 유커 유입과 중소·소상공인 대응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방한 중국인 관광객 규모는 중국의 해외여행 회복률(2019년 대비 30%~58%) 수준에 따라 최대 349만 명으로 예상되며, 방한 중국인 관광객 유입에 따른 잠재 소비 증가액은 약 3조 5992억원에서 6조 9584억 원으로 추산됐다. 김미정 중소벤처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이번 보고서에서 중국 중추절·국경절 연휴(9월 29일~10월 6일) 기간 본격적인 유커 유입 효과가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코로나19 이후 중국인 관광객의 소비패턴 변화의 주요 특징을 토대로 유커 특수를 활용하기 위한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중국인 관광객의 소비패턴 변화의 세 가지 주요 특징에 주목했다. 첫째, 최근 중국 해외여행을 1980년대 이후 출생한 MZ세대가 주도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2023년 중국 MZ세대 소비패턴 및 여행행태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32.7%' 중추절과 국경절을 앞둔 올해 중국의 전년 동기 대비 항공가격 인상 폭이다. 본래 중국에서 춘제(설날)과 중추절(추석)은 가족과 함께 보내는 명절로 유명하다. 그런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최근 수년간 제대로 고향을 찾지 못하고 가족들이 만나지 못했다. 그런 뒤 맞는 첫 중추절이니 얼마나 많은 중국인들이 고향길에 오를까? 항공권 가격이 천장부지로 치솟는 것이 당연지사다. 22일 중국 국내외 여행 데이터 앱 '플라이트 매니저(Flight Manager)'에 따르면 9월 29일부터 10월 6일까지 8일간 이어지는 올해 중국 중추절·국경절 연휴 기간의 항공권 가격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 30%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이트 매니저'가 공개한 '2023년 중추절·국경절 연휴 전망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연휴 기간 평균 이코노미석 항공권 가격은 1133위안으로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32.7% 증가했다. 연휴 기간 일일 평균 항공기 운항편수는 1만5500회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5.2%, 노동절 연휴 대비 7.1% 증가한 수치다. 연휴 기간 민간항공 여객수는 약 1536만 명으로 2019년 대
'총 1조1417억 위안' 한화로 약 209조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올 1~8월 중국 3대 통신업체(차이나텔레콤,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의 수입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실현했다. 본래 통신산업의 성장은 코로나19 엔데믹을 맞으면서 잠시 주춤할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대면접촉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통신산업의 성장세는 조금도 줄어들지 않았다. 올해 1~8월 중국의 통신산업 관련 통계가 발표됐다. 21일 중국 산업정보기술부에 따르면 1~8월 중국 3대 통신업체(차이나텔레콤,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의 수입은 총 1조1417억 위안(약 209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6% 증가했다. 1~8월 중국 3대 통신업체의 인터넷 광역대 사업 수입은 174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다. 이는 통신 사업 수입의 15.2%를 차지한다. 중국 3대 통신업체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사업 수입은 443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했다. 이는 통신 산업 수익의 38.8%를 차지한다. 올해 3대 통신업체는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터넷 데이
중국 대졸자 취업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 의미가 다르다. 중국이 사회주의 체제를 국체로 삼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사회주의란 본래 공산당 독재를 허락하되, 사회의 자원을 공익에 집중해야 하는 국가 운영체제다. 자본주의 국가들이 자본의 논리를 우선시하는 것과 달리 사회주의는 사회 공익을 위한 조치를 자본의 논리보다 우선시한다. 즉 사적 소유보다 공적 소유를 우선시한다는 의미다. 그런 측면에서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서 대졸자 취업은 공산당이 책임져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은 자본시장 논리를 받아들이면서 일자리 창출로 그 역할을 대신해왔다. 하지만 최근 경기 침체 국면에서 일자리 창출이 줄어들면서 위기 신호가 나오는 상황이다. 과연 중국 당국이 이번 경제 위기로 인한 정치불안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지 주목된다. 22일 중국 인터넷 매체 소후닷컴(Sohu.com)이 중국 대학 졸업자들의 취업 및 정착 선호도가 높은 도시 순위 Top 3를 전했다. 1위 항저우(杭州) 2위 선전(深圳) 3위 청두(成都)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와 같은 대도시도 직장을 찾는 대졸자들에게 꾸준히 인기 있는 도시이다. 하지만 최근 대학 졸업생들은 가성비를 따지며 취업을 고려하고 있다. 이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