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진핑 주석, 사우디 순방으로 아랍권에 중국 영향력 확대 도모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박4일의 사우디아라비아 순방을 마치고 10일 귀국했다.

중국은 그동안 중동과의 협력에 힘을 기울여 왔다. 미국의 영향력이 약화되는 틈을 이용해, 중국의 영향력을 크게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중동 지역과 협력을 강화해 지역 정치입지를 다지며,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게 중국의 속내다. 이 과정에서 중국은 '오일과 달러'의 디컬플링을 유도하고 오일의 위안화 거래를 인정받아 달러에 이은 위안화의 기축 통화화를 꾀하고 있다.

시 주석은 이번 순방 기간 제1회 중국·아랍 정상회의와 중국·걸프협력회의(GCC) 콘퍼런스에 참석하는 등 사우디를 포함한 중동과 북아프리카 중심의 아랍권 17개국과 연쇄 정상회담을 가졌다.

중국 외교부 발표에 따르면 시 주석은 지난 8일(현지시간)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서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과 실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를 만나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강화하기로 하는 한편 에너지·정보통신·인프라를 망라하는 30개 이상의 협약을 체결했다. 양국이 체결한 무역 협정의 총규모가 292억6000만 달러(약 38조 원)에 달한다.

시 주석은 이어 이집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단, 쿠웨이트, 튀니지, 이라크, 모리타니, 지부티, 카타르, 모로코, 소말리아, 바레인, 오만, 예멘, 레바논, 알제리 등 16개국 정상급 인사들과 몰아치기 방식으로 양자 회담을 했다.

시 주석은 사우디를 포함한 중동 산유국들과의 연쇄 회담을 통해 이들과의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석유·가스 등 에너지 수입원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달러 패권'에 대한 도전의 성격이 있는 석유·가스 대금 위안화 결제 구상을 제시했다.

시 주석은 중국-GCC 정상회의 기조연설을 통해 향후 3∼5년간 중점적으로 추진할 협력 사안에 대해 언급하면서 석유 및 가스 수입에 대한 위안화 결제 추진 구상을 밝혔다.

시 주석은 협력 강화와 함께 수입 확대, 중국 기업의 진출 등 경제적 지원도 약속했다. 특히 공급망 안정과 더불어 일대일로(一帶一路, 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구현에 박차를 가할 뜻을 강조했다.

시 주석의 이번 사우디 순방은 아랍권 국가들을 '우군'으로 만드는 면에서 상당한 진전을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9일 열린 중국-아랍 정상회의 결과물인 '리야드 선언'에 따르면 아랍 국가들은 '하나의 중국' 원칙의 확고한 준수와 대만 독립 반대를 확인하는 한편 일국양제(一國兩制, 한 국가 두 체제) 위반 논란이 제기된 홍콩 문제에서도 중국을 철저히 지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