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아름다운 미(美), 기쁨이 가장 아름다운 것이다.



 

아름답다는 단어처럼

복잡하고

추상적인 게 있을까?

 

미(美)는 굳이

칸트의 지적이 아니어도

그 자체로

이율배반적이다.

 

미(美)에 붙는

수많은 형용사가 증명한다.

 

화려한 미가 있고

단순한 미도 있으며

….

현대적 미가 있는가 하면

고전적 미도 있다.

 

개인마다

선호하는

미(美)가 다르다.

 

또 일단 미라 불리는 것에

대해

인간 모두가 느끼는

인간이라 느끼는

그런

보편적인 미(美)도 있다.

 

그래서

서양의 철학자들은

미라는

감성을 보편과

주관, 취미로 나눴다.

 

미적 감각은

인간만의 특징이다.

동물과 달리

인간이어서

느끼고 추구하는 게

미(美)다.

아름다움은

다시

숭고함으로

의연함으로

말초적인 것으로

심오함으로

나뉘기도 한다.

 

“글이 생겨 오해를 낳았다”는

노자의 말처럼,

미(美)는 마치 봄비 맞은 이끼처럼

이리저리 새롭게

뿌리를 내려 자랐다.

 

결국 누구도

쉽게

미(美)를 이해하고

이야기하기가

어렵게 됐다.

 

한자는 다르다.

한자의 세계에서

미(美)는

글자가 만들어진 순간부터

지금까지

미(美)일 뿐이다.

 

단지

많은 이들이

그 본연의 뜻을

잊고 살 뿐이다.

 

갑골문자 미(美)는

춤추는 무당이다.

깃털로 장식한

무당의 모습이다.

 

 

자형으로는

양(羊) 아래 큰 대(大)가 있다.

 

무당의 춤은 기쁨의 춤,

카타르시스의 춤이다.

 

가을 추수감사제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가을 추수한 텅 빈 들판에

모닥불을 피우고

경건한 마음으로

조상과

하늘, 땅에게

제를 올린 뒤

무당의 춤사위가 시작된다.

 

제사 음식을 나눠 먹은 이들은

술에 취해

배를 두드리고

땅을 구르며

무당을 따라

모닥불 쫓아

군무를 춘다.

 

황홀의 시작이다.

기쁨의 절정이다.

 

미적 세계로의 문이 열린 것이다.

 

“不患寡而患不均”

(부족함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공평하지 못함이 두려울 뿐이다.)

공자의 말이다.

 

감사의 축제는

부족하다 안 하고

남아야 하는 게 아니다.

 

한 해 너와 내가

함께 했음에 감사하는 것이다.

 

한자에서 미(美)는

배부름의 정점,

미적 지각의 시작점,

주관적 미와

객관적 미의

교집합의 미(美)인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