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19 봉쇄 등으로 中진출 한국 기업의 45% 지난해 하반기 매출 감소

 

지난해 하반기 중국 방역 당국의 강력한 코로나19 봉쇄 조치와 경기 둔화로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매출과 가동률이 하락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어쩔 수 없는 결과다. 여기에 한국 기업들의 중국내 인지도 하락도 크게 작용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의 소비시장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소비시장은 수출 중심의 한국 기업들이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라며 "보다 업그레이드된 전략과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산업연구원(KIET)이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사무소, 중국한국상회와 작년 9∼10월 중국 진출 기업 406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영환경 실태 조사를 4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조사에서 매출과 이익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은 2년 전 조사 때보다 상승했다.

2020년 조사에서는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한 기업이 27.1%였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45.1%에 달했으며, 이익이 감소한 기업도 29.2%에서 51.9%로 늘었다.

작년 하반기 가동률이 60% 이하였다는 기업도 52.0%로 절반이 넘었다. 80% 이상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13.8%에 불과했다.

중국 진출 기업들은 매출 감소 원인으로 코로나 봉쇄 등으로 인한 현지 수요 감소와 경쟁 심화를 꼽았다.

또 중국 진출 기업의 약 60%는 중국 정부의 규제 정책과 생산 비용 상승, 수요 시장의 변화로 향후 대내 환경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지 기업의 조달처와 판매처에서 한중 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 늘었다.

중국 진출 기업의 원부자재 조달처는 중국 현지가 71.3%, 한국이 24.9%로, 2년 전 조사에 비해 각각 5.5%포인트와 0.1% 포인트 상승했다.

현지 생산 제품의 판매처는 중국 기업이 38.5%로 7.0%포인트 늘었고, 중국 내 한국 기업이 30.2%, 한국이 16.8%로 각각 0.1%포인트와 2.0%포인트 상승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