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기쁠 쾌(快), 고통의 이면이 쾌락이다



 

‘一切唯心造’

‘일체유심조’(모든 게 마음에 달렸다.)

 

동양 철학의 정수다.

모든 게

마음에 달렸다.

 

어떻게

무엇을

마음먹느냐,

바로

그거다.

 

마음이

무엇이냐,

 

물리적으로

피가 뛰는 심장이다.

보통

사람의 주먹 크기다.

 

왼쪽 젖꼭지와

가슴 중앙선

사이의 뼈 아래 근육이다.

 

사람이 태어나

죽는 그 순간까지

한 번도 쉬지 않고

피를 돌린다.

 

성인기준 8만㎞ 길이의 혈관에

피가 돌도록 한다.

 

굴심방결절의 심박조율기 세포는

심장이

일정한 리듬을 가지고

뛰도록 한다.

대략 1분에 72회 정도다.

운동은 심박 속도를 늘리고

휴식은 심박 속도를 줄인다.

 

감정은

이 심장 리듬의 변화다.

 

묘하게도

놀랍게도

 

고대 동양의 현인들은

이 사실을 너무도 잘 알았다.

 

일체유심조

이 말 속에는

바로

이 같은

생물학적 깨달음이

담겨져 있다.

 

대표적인 글자가

쾌락(快樂)의 쾌(快)다.

‘몹시 즐겁다’는

뜻이 쾌다.

 

역설적이게도

마음을 도려내는

아픔도

담겨져 있다.

 

쾌는 갑골자가 아닌

금문에 나온다.

 

소전의 쾌(快)는

심장을

날카로운 기구로

긁어내는 모양이다.

 

가려움을 긁어주는

모양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심장을 긁는

극한의 고통이기도 하다.

 

쾌락의 본질이요,

고통의 본질이기도 하다.

 

본래 쾌락은

고통의 끝에 온다.

극한의 고통이

끝나고 느끼는

감정이 바로

쾌락이다. ‘이제 살았다’는 안도감이다.

 

고통에 움추렸던

체내의 다른

감성들이 새롭게

움직이는 게

쾌락이다.

 

때문에

쾌에는 ‘병이 낫다’는 뜻도 있다.

쾌유(快癒)가 그 것이다.

 

고통이

쾌락의

본질인 것이다.

 

일체유심조

결국

모든 게

마음에 있는 것이다.

 

종이쪽보다

작은 차이로

고통과

쾌락이

갈리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