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 여권 파워, 중국 80개국 무비자 방문으로 66위

 

'66위'

글로벌 여권 파워 순위에서 중국이 세계 66위를 차지했다.

여권 파워란 여권을 들고 쉽게 방문할 수 있는 나라가 얼마나 많은 지로 결정된다. 한 나라의 국제적인 교류 정도를 보여준다. 다양한 측면이 다시 고려될 필요가 있지만 한 나라가 지구촌에서 얼마나 환영받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순위가 낮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국제 교류가 적다는 의미일 수 있다. 

영국 런던에 있는 국제교류 자문 업체 '헨리&파트너스(Henley&Partners)'가 최근 공개한 2023년 1분기 세계 이동성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여권 소지자가 사전에 비자를 받지 않고 갈 수 있는 나라는 80개로 나타났다.

'헨리&파트너스'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자료를 토대로 각국의 여권 파워를 평가한 결과를 분기별로 공개하는데, 해당 여권을 소지했을 때 비자가 필요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간편한 입국 절차를 통해 방문할 수 있는 국가가 몇 개국인지를 지수화해 순위를 매긴다.

올해 1분기 세계 여권 파워 순위에서 1위는 일본(193개국), 공동 2위는 한국(192개국)과 싱가포르(192개국)가 차지했다.

소위 'K-문화'가 왜 빠르게 세계화하는 지 짐작케 한다. 일본이 국제 교류에서 한국을 앞서고 있지만, 일본은 스스로의 문화를 국제적으로 대중화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또 독일과 스페인은 무비자로 방문 가능한 목적지가 190개로 공동 3위를 차지했다. 미국은 무비자 방문 가능 국가가 186개로 스위스, 벨기에 등 6개 국가와 함께 공동 7위에 올랐다.

미국이 세계 최대 파워를 자랑하고 있지만, 미국 여권을 들고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는 나라는 190개를 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밖에 홍콩은 171개로 19위, 대만은 145개로 35위, 마카오는 144개로 36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국제적 지위에 비해 여권 파워가 크게 낮았다. 중국에 국제 사회에 더 많은 기여를 한다고 한다면 무엇보다 이 여권 파워부터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편 이번 조사에 따르면 세계 여행 수준은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의 75%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