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자국민 해외 단체여행 허용, 한미일 제외

 

중국은 '위드 코로나' 정책 전환에 따라 지난 8일부터 해외발 입국자에 대한 격리와 도착 후 전수 PCR 검사를 없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유지했던 출입국 장벽을 제거했다.

동시에 자국민의 해외 여행도 허용키로 했다.

중국 문화관광부 판공청은 내달 6일부터 시범적으로 전국 온·오프라인 여행사들이 일부 국가로의 중국 국민 단체 여행과 '항공권 + 호텔' 패키지 상품 업무를 재개하도록 시범적으로 허용한다고 20일 발표했다.

중국인 단체여행 허용 국가는 태국, 싱가포르,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몰디브, 스리랑카, 라오스,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케냐, 남아프리카공화국, 러시아, 스위스, 헝가리, 뉴질랜드, 피지, 쿠바, 아르헨티나 등 20개국이다.

중국 문화관광부는 20일부터 곧바로 온·오프라인 여행사들이 관련 상품 판촉 등 준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밝혔다.

단, 현재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를 둘러싼 외교 갈등을 겪고 있는 한국, 일본, 미국 등은 앞으로도 상당 기간 해외여행 허용 국가에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미일 정부가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중국발 입국자에게 비자를 제한하겠다고 한 데 대한 대응 조치로 보인다. 중국 외교부 역시 이 같은 사실을 숨기지 않고 있다.

사실 한국 등 3국이 먼저 중국인을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으니 이번 중국의 조치는 큰 의미가 없어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중국과 민간 교류폭이 큰 한국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손실이 우려된다. 중국에 대한 한국 정부의 태도는 너무 냉온탕을 오가는 게 문제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한국의 중국발 입국자 제한 조치는 외교적이지 않았다는 게 문제라는 지적이다. 너무 노골적으로 중국인에게 비자를 제한했다는 것이다. 그냥 현장 지도를 통해 사실상 제한을 해도 될 것을 너무 드러내놓고 공식화하면서 중국 정부의 체면을 깎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최고인민법원, 직장내 성희롱 근절 지침 발표
"여성이 천하의 반이다." 바로 마오쩌둥의 말이다. 중국 공산당은 이렇게 남녀평등을 앞세워 많은 여성들을 혁명의 최전선으로 내몰았다. 그 덕분에 신중국 건설 초기 여성 혁명가들이 개국 공신 서열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남성 위주의 중국 전통이 되살아났다. 특히 시진핑 정권 출범이래 남성중심주의는 더욱 강화하는 모습이다. 매 정권마다 여성 부총리가 있었지만, 최근 출범한 내각에서는 여성의 모습을 찾기 힘들다. 올해 여성의 날을 맞아 중국 당국이 직장내 성희롱 근절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내놓았다. 역대 처음이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최고인민법원이 인력자원사회보장부 등 5개 정부 부처와 공동 발표한 이 지침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거나 직장내 성희롱 방지 시스템을 세우는 데 참고로 활용할 수 있다. SCMP는 이번 지침이 중국 민법과 올해 1월 1일 시행된 개정 여성권익보호법 등의 성희롱 관련 조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여성 보호를 강화했다고 전했다. 또 많은 정부 기구가 공동으로 발표한 지침인 만큼 실질적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중국의 '미투'(Me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