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지역별 밀키트 관련 업체 순위 Top 10, 1위 산둥성

 

14억 인구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게 바로 중국의 식품 산업이다.

소비 규모가 큰만큼 시장 규모도 방대하다. 대신 14억 인구의 입맛을 잡기 위한 경쟁도 치열하다. 많은 인구만큼 입맛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전통적으로 먹는 즐거움, 즉 식도락을 3대 인생의 낙으로 삼아 온 게 중국이다. 오죽했으면 책상 다리 빼고 다리 달린 건 다 먹는다는 말이 전해질까. 

하지만 그런 중국인의 까탈스런 입맛도 바쁜 현대생활에서 맞춰 변하는 추세다. 최근에는 미리 손질해놓은 식재료와 양념 등을 포장해 판매하는 밀키트(Meal Kit) 산업이 도시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인구 구조의 핵가족화, 빠른 배송 시스템, 바쁜 현대인들의 수요 등이 결합해 밀키트 산업을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도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까지 밀키트 산업이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왔다. 신규 밀키트 관련 업체 증가율이 2017년 17.64%, 2018년 12.74%, 2019년 27.25%에 달했다.

지난 3년 간의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도 중국의 밀키트 관련 업체는 꾸준히 늘었다. 2020년 1만2600개, 2021년 4100개, 2022년 1900개가 새로 문을 열었다.

지난해 기준 중국의 밀키트 관련 업체는 약 6만3400개이며, 밀키트 관련 업체가 많은 지역 Top 10은 다음과 같다.

 

1위 산둥성, 7662개

2위 허난성, 5932개

3위 장쑤성, 5480개

4위 허베이성, 5062개

5위 광둥성, 4909개

6위 안후이성, 3827개

7위 지린성, 3582개

8위 랴오닝성, 3142개

9위 푸젠성, 2440개

10위 쓰촨성, 2132개

 

산둥은 7662개의 밀키트 관련 기업이 분포해 1위를 차지했다. 허난, 장쑤는 각각 5932개, 5480개가 분포해 2~3위를 차지했으며 허베이, 광둥, 안후이, 지린, 랴오닝, 푸젠, 쓰촨이 그 뒤를 이었다.

도시별로 살펴보면 선전(深圳)이 1937개의 밀키트 관련 기업이 위치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창춘(1728개), 웨이팡(1391개), 린이(临沂, 1263개), 쑤저우(1191개) 등이 뒤를 이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