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해커그룹, 우리말학회 등 국내 12개 학술기관 해킹

 

혐한 성향으로 알려진 중국 해커 조직 '샤오치잉'이 우리말학회를 비롯한 12개 학술기관 홈페이지를 해킹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은 많은 인구만큼 네티즌들의 성향도 다양하다. 

하지만 목소리 큰 놈(?)이 어디에서나 두드러지듯 중국 온라인에서도 극우, 극좌 등 한쪽으로 치우친 목소리나 활동들이 두드러진다.

한국의 '일베 사이트'가 그렇다. 이 점에서 중국 샤오치잉도 마찬가지다.

스스로 극단적 혐오, 극단적 '국뽕'을 행동으로 실천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세상의 악이 뿌리 뽑히지 않듯 인터넷의 이같은 악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고 있다. 어디든 숨어 있다가 틈만 보이면 독버섯처럼 퍼진다.

중요한 것은 대응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여름철 곰팡이를 모두 제거할 수는 없지만 그 곰팡이가 피고 번지는 것은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의 독버섯에 대해서는 일단 보안, 방어의 벽을 높이고 이들의 위험성을 알리는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최근 12개 기관 홈페이지에서 해킹이 이뤄진 것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홈페이지 해킹이 확인된 곳은 우리말학회, 한국고고학회, 한국학부모학회,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대한건설정책연구원, 한국보건기초의학회, 한국사회과수업학회, 한국동서정신과학회, 대한구순구개열학회,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한국교육원리학회다.

또한 중국 해커 조직은 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 부처와 유관기관에 대해서도 사이버 공격을 시도했지만 시스템 감시 기능에 의해 자동 차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샤오치잉은 설 연휴를 전후해 한국 내 교육과 관련한 사이트 70곳을 해킹했다고 주장했다. 또 국내 공공 기관 사이트에서 탈취한 데이터 54GB 상당을 공개하겠다는 예고문도 게시했다.

이들은 또 "한국의 스트리밍 관련 스타가 우리를 화나게 했다"면서 "우리는 중국 정부를 위해 일하지 않는 '자유로운 그룹'이며 "한국 내 네트워크를 광범위하게 해킹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ISA 등 보안 당국과 국가정보원, 경찰은 해킹 범죄자 추적 등 수사 공조를 시작했다.

과기정통부는 현재까지 실제적인 위험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서도 이들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상황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