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1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단기비자 발급 재개

 

오는 11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단기비자 발급이 재개된다. 중국 역시 한국인에 대한 단기 비자발급을 재개할 지 주목된다.

앞서 한국 정부가 중국 코로나 확산 상황을 고려해 중국인에 대한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하자, 중국 역시 반발해 한국인에 대한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했다.

최근에는 다롄 공항에서 입국하려는 한국인에게 하얀 표찰을 달도록 해 인권 논란을 낳았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0일 "중국발 입국자 양성률이 최근 1%로 낮아졌고 확진자 중 우려 변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며 "2월 말까지로 연장됐던 중국인에 대한 단기비자 발급 제한 조치를 11일 조기 해제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한국의 대중국 비자 발급 정상화 발표에 맞춰 자신들도 한국인의 방중 비자 발급 정상화를 적극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한국 국민의 중국행 단기 비자 심사·발급을 대등하게 재개하는 것을 적극 고려할 것"이라며 "양국 간 인원의 정상적인 왕래를 위해 더 많은 편의를 창출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올해 양국 관계의 갈등 요소로 부상했던 비자 제한 공방이 해소 국면에 접어듦에 따라 양국 정부와 민간의 인적 교류가 재개될지 주목된다.

그러자 중국 정부는 한국인의 중국행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한다고 지난달 10일 발표하고 시행했다. 이어 지난달 27일 한국 정부의 중국인에 대한 비자 제한 조치 연장 결정에 맞서 한국발 입국자(중국인 제외)에 대한 입국 직후 코로나 검사라는 추가 조치를 내놓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