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중국 민영 기업 매출 Top 5, 1위 징둥닷컴

 

마윈이 떠난 알리바바가 갈수록 기력을 잃는 모습이다. 징둥이 잘 하긴 했지만 알리바바의 뒤만 쫓았는데, 마윈이 떠나자 바로 알리바바를 따라잡았고 선두로 나섰다.

중국의 온라인 유통은 '중원축록(中原逐鹿)'에 비견된다. 중원의 넓은 들판에서 뛰어다니는 사슴을 사냥한다는 뜻이다. 과거 춘추전국시대 각국이 천하의 패주가 되기 위해 경쟁했던 것을 가르킨다. 이후 권력을 추구하며 경쟁하는 권세가들의 모습을 묘사할 때 쓰였다.

거대한 중국 시장은 그만큼 먹음직스러운 목표가 되지만, 반대로 그만큼 경쟁이 심하기도 하다. 올해 기준 중국 민영기업 100대 순위가 최근 발표됐다.

매출(영업수입) Top 5 민영기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징둥이 알리바바를 누르고 확실히 1위로 나선 모습이다. 징둥은 업계 1위 자리에 오르기 위해 중국 곳곳에 물류센터를 확보하고 일일 배송을 특징으로 내세웠다. 당일 생산된 칭다오맥주를 광저우에서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이벤트로 내세우며 중국 소비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냈다.

 

1위 징둥닷컴 9515억9200만 위안

2위 알리바바 8530억6200만 위안

3위 화웨이 6306억9800만 위안

4위 텐센트 5601억1800만 위안

5위 비구이위안(碧桂園) 5230억6400만 위안

 

시장감독총국(市场监管总局)에 따르면 민영기업은 중국 전체 기업 수의 98%를 차지한다. 2012년부터 2020년까지 국영기업의 비율은 3.36%에서 1.17%로 감소한 반면 민영기업의 비율은 96%에서 98%로 증가했다. 외자기업의 비율은 2.54%에서 2.54%로 감소했다.

또 중국 민영기업은 세금의 50% 이상, 국내총생산(GDP)의 60% 이상, 도시 노동 고용의 80% 이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중국 100대 민영기업 중 82개가 동부 지역에 위치해 있다. 광둥, 저장, 베이징, 장쑤에 각각 16개, 16개, 12개, 11개의 100대 민영기업 본사가 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