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영의 지혜 – 갑질 요구 대응법

 

"명나라를 치려하니 길을 빌려달라"

1592년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의 선조에게 '정명가도(征明假道)'의 글귀가 담긴 편지를 보낸다. 선조는 이 편지를 선전포고로 봤다.

하지만 조선은 "뭐 이런 게 다 있어"하며 무시했다.

앞서 수많은 경고, 특히 이율곡의 10만 양병설도 불필요한 것으로 일축했던 조선의 사대부들이었다. 본래 무능은 무지에서 나오는 법이다.

결국 조선은 일본의 침략에 무너졌다. 왕은 북쪽 변방 의주까지 도망가야 했다.

 

"A를 하려고 하니 B를 달라"

일본 요구의 구조다. 사회에서 흔히 일어나는 갑질 요구다. 황당하지만 거절하기 힘들다. 갑질을 하는 이들은 자신이 갑인 이유를 분명히 알고 있기 때문이다.

무시를 하면 임진왜란처럼 그 대가가 크다.

이 때 필요한 게 계략이다. 계략은 궁극의 도다.

 

중국 전국시대, 강대국이 이웃 약소국을 괴롭히는 일이 적지 않았다.

일본이 조선에 했던 '가도(假道)의 요구'도 흔하게 있었다.

한번은 진나라가 한나라를 치겠다고 주나라(동주)에게 길을 빌려줄 것을 요구했다. 주나라는 길을 빌려주면 한나라에게 미움을 살 것이요. 거절하면 진나라에게 미움을 받을까 두려웠다.

 

대책회의를 했다. 이 때 한 대신이 말했다.

"폐하, 한나라 공숙에게 사신을 보내시어 이렇게 사정해보십시오. 진나라가 감히 절험한 요새를 넘어서 한나라를 치려고 하는 것은 동주가 자신들을 도울 수밖에 없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진이 한나라를 공격하는 순간 그 등 뒤에 동주가 있는데, 만약 진나라가 동주가 언제든 배신해 공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아무리 동주가 허약한 나라라고 해도 쉽게 무방비로 등을 맡기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 만약 동주가 한나라에 은혜를 입어 언제든 배신할 수 있다고 진나라가 생각하도록 한다면 진은 스스로가 동주를 지나 한나라를 공격하는 계획을 실행하기 어렵게 됩니다."

 

잠시 주나라 황제가 생각에 잠긴 사이 신하는 말을 이어갔다.

"그러니 한나라가 우리 동주에게 땅을 떼어주고 고위직 사신을 초나라에 파견한다면 분명 진나라는 한나라가 땅으로 동주를 매수하고 초나라와 협력을 굳건히 한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그러면 진나라는 동주를 지나 한나라를 공격하겠다는 생각을 포기하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한나라를 설득하는 것입니다."

 

놀라운 계략이었다. 황제가 고개를 끄덕일 때 신하는 계속 말을 이었다.

"만약 한나라가 우리가 일러주는 계책을 택하게 되면 우리는 이번에 진나라에 가서 다시 사정을 하는 것입니다. '한나라가 갑자기 땅을 떼어주려고 합니다. 분명히 진나라에게 우리 동주를 의심하도록 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진나라가 만약 정말 우리 동주의 진심을 의심한다면 어찌 땅을 받을 수 있겠습니까, 진나라에서 땅을 받을지 말지를 결정해주십시오'고 하십시오.

그럼 진나라는 체면 때문이라도 땅을 받지 말라고 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의심이 생긴 진나라는 동주의 땅을 지나 한나라를 공격하겠다는 계획을 실행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동주의 황제를 신하의 조언을 따랐고, 한나라에게는 땅을 얻고 진나라에게는 '땅을 빌려달라'는 청을 거절하지 않으면서 양국의 우의를 지켰다.

계략은 이렇게 알고도 당하게 하는 것이다. 자신을 위험에서 구하고 이 틈에 이익을 꾀하는 것이다. 조선이 이 궁극의 도를 알았다면 어떠했을까?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