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国内外同时举行展会的“平面陶瓷绘画”画家李升熙


       以“平面陶瓷绘画”而闻名的画家李升熙(音译)的个人展,将在首尔与济州的Park Ryu Sook画廊内同时举行。根据Park Ryu Sook画廊介绍,画家李升熙的个人展,将于9月12日至10月14日在首尔进行,济州岛内的展览也一并在9月9日至11月12日期间举行,与此同时,英国伦敦的维多利亚和阿尔伯特博物馆、北京CIGE特别展和韩国国际艺术博览会(KIAF)等地也将展出李升熙的作品。
在首尔Park Ryu Sook画廊内,将展出平面陶瓷绘画中的10幅纯白瓷、17幅青花白瓷和命名为《TAO》的陶瓷竹子设置作品。在济州的画廊则可观赏到14幅平面青花白瓷作品。

 

  


       画家李升熙以陶瓷为底用笔反复作画,以此完成平面陶瓷绘画。创作时要等到泥水干透,每天只能用笔在上面画一次,完成一幅作品大约需要3个月的时间。特别是设置作品竹子《TAO》,需7种以上的色彩来完成无光、反光和流光等多种光泽特点。为了重现竹子挺拔和柔韧等特点,画家在作品中混用了黏土。
       去年为纪念韩法建交130周年,画家李升熙还应邀参加了法国著名的BERNARDAUD财团举办的“韩国现代陶瓷展(Céramique Contemporainé Coréenne)”。接着在伦敦维多利亚和阿尔伯特博物馆进行了作品展。

       李升熙于1958年出生在清洲,毕业于清洲大学工艺系。从1993年开始到2016年,李升熙在首尔和济州的Park Ryu Sook画廊共举办了20余场个人展。目前他正在中国首屈一指的陶瓷之都江西景德镇,完成自己的作品。他的作品被收藏在首尔市立美术馆、三星美术馆Leeum、国立现代美术馆和波兰克拉科夫市立美术馆等。


笔者 张雨 提供资料 news 1

 

 

 

국내외서 동시에 전시회 갖는 ‘평면 도자회화’ 이승희 작가 

 

‘평면 도자회화’로 유명한 이승희 작가의 개인전이 박여숙화랑 서울과 제주에서 동시에 열린다. 박여숙화랑에 따르면 이승희 작가의 전시는 9월 12일부터 10월14일까지 서울에서, 9월 9일부터 11월 12일까지 제주에서 각각 진행되며, 같은 기간 영국 런던 빅토리아앤알버트뮤지엄, 베이징 CIGE 특별전, 한국국제아트페어(KIAF) 등에서도 그의 작품이 전시된다.
먼저 박여숙화랑 서울에서는 평면으로 된 순백자 10점과 청화백자 17점, 그리고 설치작품인 도자 대나무 <타오(TAO)>를 선보인다. 제주에서는 평면 청화백자 14점을 볼 수 있다.
이승희 작가는 세라믹을 재료로 붓질을 반복해 평면 도자회화를 완성한다. 흙물이 마르기까지 기다리며 하루에 붓질을 한 번씩만 덧칠하는 방식으로 한 작품을 완성하는데 약 3개월이 걸릴 정도다. 특히 대나무 설치작품 <타오>는 7가지 이상의 색채와 무광, 반광, 유광 등 다양한 광택의 변화가 특징이다. 올곧고 유연성 없는 대나무의 상징성을 재현하기 위해 점토를 사용했다. 

 

이승희 작가는 지난해 한·불 수교 130주년을 기념해 프랑스 유명 자기회사인 베르나르도재단이 연 ‘한국 현대도자전(Céramique Contemporainé Coréenne)’에 초대받기도 했다. 이어 런던 빅토리아앤알버트박물관에서도 전시가 진행 중이다.
이승희는 1958년 청주에서 태어나 청주대학교 공예과를 졸업했다. 1993년부터 2016년도 박여숙화랑 서울과 제주에서의 개인전까지 약 20여회의 개인전을 가졌다. 현재 중국 최고의 도자기 도시로 꼽히는 장시성 징더전(景德鎭, 경덕진)에 머물며 작업을 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서울시립미술관, 리움, 국립현대미술관, 폴란드 크라쿠프시립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글 = 장우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