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 5G 표준 필수 특허 보유 업체 순위 Top 10, 1위 화웨이

 

사물인터넷 시대에 통신기술은 모든 산업의 기초다. 사물인터넷이란 용어 자체가 통신기술이 들어가지 않는 제조품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을 중심으로 사람이 들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해 주변의 모든 사물과 소통하는 게 바로 사물인터넷이기 때문이다. 사물인터넷이 되면서 사람은 비로서 만물의 영장이 되는지도 모른다. 결국 이 사물인터넷 기반산업을 누구 주도하느냐가 글로벌 산업의 '영장'이 되는 것이다.

많은 이들이 미국을 꼽는다. 사실 글로벌 인터넷 산업 생태계의 정점을 차지하고 있는 게 미국 기업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신 설비 기술은 또 다른 문제다. 한국도 만만치 않지만 중국 기업들이 발군의 실력으로 도드라지고 있다. 

중국정보통신연구원 '2023 글로벌 5g 표준 필수 특허 및 표준 제안 연구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5g 표준 필수 특허 보유율 Top 10에 중국 업체 5개가 이름을 올렸다.

무엇보다 1위가 중국 기업, 화웨이다. 화웨이는 미국 정부까지 나서 견제를 하는 기업이다. 미국 퀄컴에 이어 한국 삼성도 3위를 차지하고 있다. 4위는 다시 중국 기업이고 5위가 바로 LG다. 옛 IT산업의 맹주 노키아와 에릭슨의 이름도 6, 7위에서 보인다. 

 

1위 화웨이 14.59%

2위 퀄컴(Qualcomm) 10.04%

3위 삼성 8.80%

4위 중씽(中兴) 8.14$

5위 LG 8.10%

6위 노키아(Nokia) 6.82%

7위 에릭슨(Ericsson) 6.28%

8위 따탕(大唐) 4.34%

9위 OPPO 4.19%

10위 샤오미(小米) 4.10%

 

이번 보고서는 지난해 연말 기준 ETSI 특허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5G 특허 및 확장 특허에 대한 통계를 기반으로 했다. 상위 10개 기업의 특허 수가 전체 5G 특허의 75% 이상을 차지했다.

1~3위는 화웨이, 퀄컴, 삼성이 이름을 올렸으며 중씽, LG, 노키아, 에릭슨, 따탕, OPPO, 샤오미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샤오미는 처음으로 10위에 진입했다. 2022년 말 기준 샤오미가 보유한 특허는 3만 개를 넘어섰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