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강할 강(强), 활을 들고 말하는 게 강한 것이다.

강하다는 건

활을 들고 말하는 것이다.

 

말에 앞서

활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 말을 들을 수밖에 없도록 하는 것이다.

 

마치 영화 대부(代父) 속

대부가 상대방 머리에

총을 겨누고

“거절하지 못할 제안”을 하듯

 

활을 겨누고

말을 하는 게

바로 강(强)이다.

 

갑골자 강이

보여주는 도리다.

 

입구 위에

활이 보인다.

 

 

 

금문에 와서

오늘날 강(强)처럼

충(蟲)이 붙는다.

 

갑골자 강(强)이

클 홍(弘)으로 변한 뒤

그 아래

파충류를 의미하는 충(蟲)이

붙었다는 게

일반적인 설명이다.

 

큰 도마뱀이

거대한 곤충이 보여주는

공포가 바로 강(强)인 것이다.

 

갑골이나

금문이나

강하다는 건

한 의미다.

 

바로

말이 말로 끝나지 않는 것이다.

활로

힘으로

말을 이루는 것이다.

 

중국 고대

‘바르다’는 의미의 정(正)이

힘으로 얻어내는 것이듯

강하다는 건

‘크라토스의 로고스’(권력의 말)

힘으로

이뤄지는 말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