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가장 가치있는 글로벌 브랜드 Top 10, 중국 텐센트 7위

 

브랜드 가치의 시대다. 어떤 제품이 높은 품질을 꾸준히 유지하는 게 브랜드 가치를 키우는 길이고, 브랜드 가치가 커지면 무한 충성의 소비자가 생긴다.

21세기는 인류 역사상 가장 이성적인 세상이지만, 인간의 행동은 역설적이게도 가장 비이성적으로 변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 수많은 이들의 실제 사용 후기를 접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브랜드로 몰리고 있다.

왜 좋으냐고 물으면 답은 간단하다. "이 브랜드니까."

이런 팬덤 소비의 최고봉, 최고 가치의 브랜드는 바로 애플이다. 수많은 이들이 애플의 소비자 정책에 불만을 토로해도, 매번 출시된 신제품에 적용된 기술이 거기서 거기인 수준임에도 수많은 소비자들을 밤샘 줄서기도 마다않고 애플 신제품을 영접한다.

글로벌 브랜드 데이터 및 분석 기업인 칸타그룹(Kantar Group)이 올해 세계에서 가장 가치가 높은 브랜드 순위를 최근 발표했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애플 8804억5500만 달러

2위 구글 5776억8300만 달러

3위 마이크로소프트 5018억5600만 달러

4위 아마존 4687억3700만 달러

5위 맥도날드 1911억900만 달러

6위 VISA 1690억9200만 달러

7위 텐센트 1410억2000만 달러

8위 루이비통 1248억2200만 달러

9위 마스터카드 1106억3100만 달러

10위 코카콜라 1061억900만 달러

 

애플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 업체들이 1~4위를 차지했다. 이어 맥도날드다. 전통의 패스트푸드 브랜드, 역시 미국 브랜드다. 

미국 브랜드들의 독점 속에 중국 브랜드로는 텐센트가 끼어 있다. 

애플은 브랜드 가치 8804억5500만 달러로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 9471억 달러보다 다소 떨어진 수치이다.

올해 순위에 오른 100대 브랜드의 총 가치는 6조 9000억 달러로 지난해 8조 7000억 달러에 비해 하락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전(2019년)보다는 47% 성장했다. 

중국은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 총 14개가 포함됐다. 특히 텐센트는 브랜드 가치 1410억2000만 달러로 7위에 이름을 올리며 중국 브랜드 중 유일하게 Top 10에 진입했다.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 포함된 중국 업체는 알리바바, 마오타이, 틱톡, 메이퇀, 화웨이, 하이얼, 징둥, 중국공상은행, 쉬인(SHEIN), 차이나모바일, 농푸산취안, 핑안, 요우방보험 등이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