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영의 지혜 - 왕이 왕다워야.



 

가장 편한 게 책임지지 않고 권한만 누리는 일이다. 회사 경영을 하다보면, 그렇게 책임은 지지 않고 권한만 누리려는 이들이 적지 않다.

대체로 그런 이들이 새로 일하려는 직원들의 사기를 꺾는다. 그런 이들이 간부가 되고 임원이 되면 회사는 일의 성과를 내기보다 일을 벌여 생색만 내는 조직으로 변한다. 자연히 손실이 발생하고 그런 조직은 일 좀 하는 이를 ‘희생양’으로 만들어 책임을 지운다.

조직에서 점점 일하는 이들이 사라지고, 결국 망하게 된다.

 

사업은 블루오션처럼 사업 자체가 비전이 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설사 레드오션이어서 경쟁이 치열하다고 해도 일치단결해 승리를 쟁취하는 내부 조직원이 있다면 성공의 길은 이미 약속된 것이나 다름이 없다.

무엇보다 레드오션의 장점은 누구나 다 사업의 비전을 인정한다는 의미여서 이 같은 내부 조직원이 있다면 찾기 어려운 블루오션을 찾느니, 레드오션만 찾아가 시장을 장악하는 게 더 손쉬운 일일 수도 있다.

 

전국책에는 한참 성장하던 진나라가 왕의 권한을 찬탈한 이들로 혼돈에 빠지자 범저가 왕에게 경고하는 장면이 나온다. 구구절절 가슴에 와닿는다.

 

“무릇 국가를 통치하는 자를 일러 왕이라 하는 것이요. 이해를 마음대로 장악한 자를 왕이라고 하며 살생의 권위를 쥔 자를 왕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태후가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면서 당신께 무엇 하나 상의하는 일이 없고, 양후가 마음대로 사신을 파견하고는 돌아와서도 당신께 보고하는 일도 없습니다. 경양군과 화양군이 마음대로 사람을 처벌하고도 꺼려하는 게 없습니다. 이 네 가지 경우가 있으면서 나라가 위험하지 않은 때는 없었습니다.

'나라를 잘 다스리는 왕은 안으로 견고한 위세를 세우고, 밖으로 가중한 권위를 세운다'라고 하였습니다.

지금 양후는 권위 때문에 그의 말을 듣지 않는 자가 없습니다. 싸워 이기면 그 취한 것을 자신의 봉지(封地)에 귀속시켜 버리고 나라가 피폐해지도록 제후를 제압하기에 바쁘고, 싸움에 지면 백성들과 결탁해 그 책임을 나라로 돌리고 같이 원망을 합니다. 그래서 화를 나라 사직에 덮어씌우고 있습니다.

본래 나무에 열매가 지나치게 많으면 그 가지가 찢어지고, 그 가지가 찢어지면 그 나무 자체가 상하게 됩니다.”

 

나무 열매가 많으면 가지가 찢어지고 가지가 찢어지면 나무가 상하는 법이다. 책임을 넘어서는 권한을 지닌 직원이 생기면 나무가 상하듯 조직이 상하는 법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