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쇼핑하러 중국으로 향하는 홍콩인들, 中네티즌 "홍콩이 가난해졌나?"

 

'쇼핑 천국' 홍콩의 명성이 흔들리고 있다. 과거 홍콩은 중국 대륙에서 찾아온 쇼핑 관광객들로 붐볐지만 지금은 인구 이동이 거꾸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은 모든 상품이 무관세다. 명품 등 일반 소비재들이 관세 없이 거래되다 보니 글로벌 사회에서 오랫동안 쇼핑 관광지로 군림했다.

하지만 중국 각종 플랫폼들이 발전해 무관세의 장점이 희석되는 것은 물론, 상품의 종류가 더욱 다양해지면서 홍콩 소비자들도 중국 플랫폼을 통해 구매하거나 인근 도시인 선전에서 직접 쇼핑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신기하다는 듯 이러한 현상을 바라보고 있다. "홍콩이 가난해졌나?"라는 의문마저 던지고 있다. 중국 제조업과 IT플랫폼 발전이 만든 새로운 현상이다. 

최근 홍콩 출입국 관리국 통계에 따르면 7월 1일부터 8월 29일까지 홍콩 주민 900만 명 이상의 홍콩 북부의 선전에 입국했다. 홍콩 총 인구는 733만3200명으로 여름 동안 홍콩인 한 명당 1.2회 선전에 입국한 셈이다.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 샤오홍슈와 틱톡에서 홍콩인들이 공유하는 선전 쇼핑 경험도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선전 주민들은 "평생 그렇게 많은 홍콩인을 본 적이 없다"며 "주말만 되면 홍콩에 온 것 같다"는 반응이다.

선전시 관광협회에 따르면 홍콩인들이 이처럼 '북상(北上) 소비'에 나서는 이유는 지난 3년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소비 열기가 누적된 데다가 최근 위안화 환율이 계속 하락했기 때문이다.

중국 네티즌은 홍콩인들의 수입이 낮아진 것 같다며, 선전의 물가만 안 올리면 좋을 것 같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홍콩의 이 같은 현상은 조만간 한국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미 한국 소비자들이 중국 플랫폼들을 통해 중국의 값싼 제조품을 직접 구매하는 사례가 갈수록 늘고 있다. 배송기간이 일주일 이상으로 긴 것 빼고는 장점이 훨씬 많다는 소리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들린다.

문제는 소비재 제조를 중국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면 한국 경제의 중국에 대한 종속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중국 네티즌들도 신기해하는 '홍콩의 대륙 역소비 현상'이 한국에게는 향후 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우려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