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만 첫 자체 건조 잠수함 진수에 중국 강력 반발

 

대만이 사상 첫 자국산 잠수함을 선보였다. 동북아 지역의 군비 경쟁이 갈수록 고도화하는 형국이다. 

일본 역시 중국 위협론을 내세우며 군비를 강화하는 상황이다. 

한국은 북한을 탓하며 군비 확충에 적극적이다. 

28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이날 대만의 자국산 방어형 잠수함(IDS) 원형함의 명명식 및 진수식이 대만국제조선공사(CSBC) 가오슝 공장에서 진행됐다.

대만 첫 잠수함은 '하이쿤(海鯤)'으로 명명됐다. '하이쿤'은 춘추전국시대 철학자 장자의 소요유 편에 등장하는 '북쪽 바다의 물고기로 너무 커서 크기를 알 수 없는 쿤(鯤)'에서 유래했다.

하이쿤은 폭 8m, 길이 79m, 배수량 2460~2950t, 잠수 가능 깊이 300m이며 미국 록히드마틴의 전투 시스템과 무기 체계를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항만 계류 테스트와 해상 테스트를 모두 통과하면 내년 연말 이전에 대만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대만 국방부는 테스트가 모두 성공할 경우 추가 잠수함 제작에 들어가 2027년까지 두 척을 실전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진수식에는 차이잉원 대만 총통을 비롯해 미국의 대만 주재 대사 격인 미국재대만협회(AIT)의 샌드라 우드커크 타이베이 사무처장과 한국, 일본의 대만대표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한편 중국 당국은 대만의 잠수함 건조는 양안 관계의 안정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강력하게 비난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대만의 첫 번째 잠수함에 대한 질문에 대해 "대만 당국은 완고하게 '대만 독립'이라는 분리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면서 대만 국민이 힘들게 번 돈을 낭비하고 양안 대결을 조장하고 있는데 이는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훼손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또 우첸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대만의 잠수함 진수를 무모한 행동을 의미하는 성어 당비당거(螳臂當車)에 비유한 뒤 "대만의 어리석은 행동은 결국 멸망을 자초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