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제5회 상하이 국제 미술 무역 주간' 11월 9~13일 개최

 

'제5회 상하이 국제 미술 무역 주간'이 '글로벌 미술 시장·아트 상하이'를 주제로 11월 9일부터 13일까지 개최된다

16일 중국 상하이시 인민정부 정보판실에 따르면 올해 무역 주간은 국내외 미술품 유통의 전략적 연결고리로서 상하이의 도시 기능을 강조한다는 방침이다.

250개 이상의 중국 및 해외 미술 기관이 참여해 100개 이상의 전시 및 거래, 30개 이상의 미술품 경매 등이 개최되며 총 거래 금액은 100억 위안(약 1조 8480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G20 회원국, BRICS 국가, SCO 국가의 갤러리가 전시에 참가하며 그리스, 라트비아 등 일대일로 주변 국가의 19개 갤러리도 참가한다.

올해 무역 주간에는 '제10회 웨스트번드 아트 페어', '제11회 ART021 아트 페어', '청소년 아트 페어', '온라인 아트&디자인 박람회' 등 4개 아트 페어가 동시에 열려 전시업체 수와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또 '제6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에는 세계 3대 경매사인 크리스티(Christie's), 소더비(Sotheby's), 필립스(Phillips)가 모두 참가한다.

한편 올해 무역 주간에는 '상하이 국제 문화재 및 미술품 거래 서비스 센터 관리 조치'가 발표될 예정이다.

이 조치에 따르면 푸둥 신구에 '상하이 국제 문화재 및 미술품 거래 서비스 센터'가 설립돼 문화재와 미술품의 전시, 거래, 서비스 관리를 위한 플랫폼이 구축된다.  

'상하이 국제 미술 무역 주간'은 2019년 시작돼 현재 글로벌 대표 미술품 거래 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지난해 상하이의 문화재 및 미술품 시장 거래 규모는 128억5300만 위안에 달해 2019년 대비 44% 증가했고, 문화재 및 미술품 수출입 총액은 102억7600만 위안으로 2019년 대비 61배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