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3분기 중국 1인당 평균 가처분 소득 2만9398위안, 中네티즌 “너무 적어 vs. 너무 많아”

 

'2만9398위안'

한화로 약 541만 원이다. 중국의 올해 1~3분기 1인당 가처분 소득 규모다. 전년 동기 대비 6% 이상 성장했다.

중국의 경제 성장 규모에 비해 중국 국민들의 가처분 소득 증가 규모가 더 많은 게 특징이다. 

자연히 이 같은 중국 당국의 발표에 중국 네티즌들도 이론이 분분하다.

간단히 평균의 오류라는 지적이 많다. 마윈 등과 같이 소득이 일반인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많은 이들을 모두 합쳐 평균을 내니 1인당 평균액이 크게 오른 것이라는 지적이다.

사실 중국처럼 인구가 많은 곳에서는 평균의 오류가 분명히 존재한다. 중국은 '더 하면 세계 제일이지만, 나누면 세계 꼴찌'라는 원자바오 전 총리의 말이 다시 한 번 기억나는 대목이다.

30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올해 1~3분기 31개 성(省)급 지역별 1인당 가처분 소득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중국 31개 지역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은 평균 2만9398위안(약 541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 도시 주민이 3만9428위안(5.2% 증가), 농촌 주민이 1만5705위안(7.6% 증가)를 기록했다.

상하이, 베이징, 저장, 톈진, 장쑤, 광둥, 푸젠, 산둥 등 8개 지역의 1~3분기 평균 1인당 가처분 소득은 3만 위안을 넘었다. 특히 상하이와 베이징은 각각 6만3681위안, 6만1718위안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7.1%, 5.3% 증가했다. 

이번 발표에 대해 중국 네티즌의 반응은 극과 극이다. 가처분 소득이 너무 적은 것 같다는 의견과 너무 많다는 의견으로 나뉘고 있다.

"이 통계는 나랑 아무런 관계가 없어요"라는 네티즌의 말이 눈에 띈다. 사실 평균의 오류는 이 처럼 많은 사람들을 소외시킨다. "상위 10%를 제외하고 다시 계산 해보라"는 말이 정확한 지적이다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혹자는 너무 적다는 평도 내놓는다. "이렇게 적을리가 없다"는 지적도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