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 축제 '솽스이'의 올해 판매 실적은?

 

 

20일 중국 IT 전문 조사기관 Syntun(星圖數据)에 따르면 '2023년 솽스이 행사(10월 31일 20시~11월 11일 24시)' 기간에 주요 온라인 플랫폼의 매출액 합계는 1조1746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티몰, 징둥, 핀둬둬 등 종합형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 합계가 2022년 솽스이 기간 대비 1.1% 감소한 데 반해, 틱톡 등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의 매출액은 18.6%의 높은 신장세를 기록했다.

또 위드 코로나 도입 이후 일상 회복에 따라 음식배달 플랫폼 어러머(饿了么) 등 신소매 플랫폼의 매출은 8.3% 증가한 236억 위안을 기록했다. 반면 지역 내 주민들이 SNS를 통해 단체 소비하는 동네 공동구매(社區團購)는 8.1% 감소한 124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행사 기간 판매 실적이 가장 많은 품목은 예년과 비슷한 가전, 스마트폰, 의류, 화장품, 신발·가방, 사무용품, 식품, 가구·건축자재, 영유아용품 및 스포츠·아웃도어용품 등으로 나타났다.

이 중 화장품 매출 실적은 시장의 기대치를 빗겨갔다.

Syutun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솽스이 행사기간 전체 온라인 플랫폼상 기초 화장품 매출액은 58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했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솽스이 기간과 비교할 경우 감소폭은 22.9%에 달한다. 코로나 사태를 거치며 173억 위안 줄어든 셈이다.

색조 화장품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동기 대비 32.5% 증가하며 200억 위안을 넘어섰지만 전년 동기 대비 5.6% 감소했다. 기초 화장품과 색조 화장품 매출액 합계는 786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로 15주년을 맞이한 중국 ‘솽스이’(雙十一) 쇼핑축제는 1이 가장 많이 들어간 ‘11월 11일’ 솔로데이를 기념하는 이벤트로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가 2009년 시작했다.

2009년에는 알리바바의 B2C 플랫폼 티몰이 단독으로 개최하던 행사였지만 판매 규모가 급증하자 2012년부터 다른 전자상거래업체들까지 가세해 전국적인 할인행사로 확대됐으며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 축제로 자리 잡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