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글로벌 최고 브랜드 Top 100, 1위 애플

 

역시 애플이었다.

올해 글로벌 브랜드 파워 1위로 애플이 선정됐다.

애플은 글로벌 브랜드 가운데 충성고객이 가장 많은 브랜드다. 단순히 제품이 좋아서 그런 것만이 아니라, 애플이어서 좋아하는 고객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애플은 '모바일 온라인 사회'의 문을 연 업체다. 말이 쉽지 그리 단순한 게 아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개인 모두가 걸어다니면서 하루종일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만든 것이다. '접속인류'라는 신종 인류를 만들었고, 애플은 그들의 숭배를 받는다.

애플은 여전히 자신들만의 모바일 생태계를 구축하고 그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브랜드 파워 조사업체 인터브랜드(Interbrand)가 '2023년 글로벌 최고 브랜드 Top 100'를 발표했다. 순위에 오른 브랜드들의 가치는 전년 대비 5.7% 증가에 그쳤다. 브랜드 가치는 3조 3000억 달러에 달했다. 상위 10위권 내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1위부터 4위가 모두 미국 기업이다. 한국의 삼성이 글로벌 5위에 랭크돼 있다. 일본의 토요타가 삼성에 이어 6위다.

얼마나 많은 글로벌 브랜드를 가지고 있느냐가 바로 국력과 연관돼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1위, 애플

2위, 마이크로소프트

3위, 아마존

4위, 구글

5위, 삼성

6위, 토요차

7위, 메르세데스 벤츠

8위, 코카콜라

9위, 나이키

10위, BMW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이 1~3위를 차지한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가 전년 대비 14% 증가율을 보였다. 중국 브랜드로는 샤오미 및 화웨이만이 100위 안에 들어 샤오미는 87위, 화웨이는 92위였다.

성장률 방면에서 살펴보면, 자동차와 명품업계의 브랜드 가치가 크게 올랐다. 2023년 자동차 브랜드의 가치는 9% 올랐으며 그 중 BMW가 처음으로 10위권 안에 들었다. 포르쉐, 현대, 페라리는 나란히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고 가장 빠르게 성장한 5개 브랜드 중 3개 브랜드를 차지했다. 테슬라는 올해 12위를 유지했지만 브랜드 가치가 4.0%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BMW는 10.4%, 메르세데스 벤츠는 9.5% 성장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