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견성일성(犬聲一聲) "약게 행동해야 살아남아유!"

 

두 번째 멍멍이유. 이게 시리즈 개소리 마지막이유.

 

앞서 이어서 들어유.

 

시진핑 정권이 등장하면서 중국은 이제 스스로 국제 룰을 지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허지유. 그리고 이것을 더욱 공식화해유.

소위 글로벌 화두에 거리를 두며 자신들의 수량에 힘쓰겠다는 도광양회(韜光養晦) 태도를 버리고 글로벌 사회의 화두 형성에 적극 참여하기 시작하지유. 외교역량을 극대화하려 노력해유.

 

이는 미국을 더욱 자극했고, 미국은 더욱 더 노골적으로 중국을 압박혀유. 관세를 통한 압박이 나오기 시작했고, 소위 미중 갈등이 '무역전쟁'으로 번지기 시작했쥬.

 

사실 코로나19 사태는 양국 갈등을 극적으로 만들었시유. 미국에서는 아예 코로19나 균은 중국 연구소에서 화학무기를 연구하다 유출된 것이라는 식의 의혹을 제기허쥬. 뭐 진실은 몰러유. 하지만 미국 공식 문서를 통해 많은 의문점들이 제기됐고, 중국은 당연히 강력히 반발허쥬.

 

자 여기까지가 지금 현상이유. 미중 갈등은 지속되고 있고, 미국은 첨단 기술 보호차원에서 아예 중국과 첨단 기술이 들어가는 산업 교류조차 막고자 하고 있시유. 아예 미국과 무역하는 나라들까지 중국과 거래를 끊도록 압박허쥬.

 

대표적인 게 한국이유. 반도체는 모든 첨단기술이 들어간 제조품의 가장 핵심 부품인데, 이 반도체의 글로벌 공급망을 미국이 원하는 식으로 재편하고 있지유.

 

그런데 잘 생각해 보면, 이게 방향성이 있시유. 아주 분명허지유. 중국은 글로벌 무역 규칙을 미국처럼 지들 편하게 바꿔서는 안된다고 생각허고 저항허지유. 미국은 글로벌 경제 상황에 따라 룰도 변해야 하는데, 가능한 지들이 유리하게 바꾸겠다는 생각을 허지유.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는 이런 가운데 싹튼 생각이유. 전통 우방인 유럽도 필요없다. 오직 미국만 잘 살면 된다 이거지유. 트럼프 생각은 실은 간단하지유. 어찌보면 유럽에서 일찌감치 선보였던 나치즘이란 크게 다를 게 없지유.

 

사실 사람들의 생각은 돌고 돈다잖여유. 정말 그런가봐유. 멍!

 

문제는 그 틈에 낀 한국이어유. 맹자가 그랬잖유. 작은 나라는 지혜로 큰 나라를 섬겨야 한다고유. 정말 지혜가 필요한거유.

당장 일본 봐유. 요즘 왜 일본 증시가 그리 핫한가유? 간단혀유. 약게 자신들의 경제적 이익을 위하고 있어 그려유.

돈에 눈이 없다지유? 칼도 그렇지만, 칼에는 이름이라도 있는데, 돈에는 이름도 없지유. 한국 속담에 ‘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쓰라’잖여유. 맞아유. 돈은 있는 게 없는 것 보다 무조건 좋아유.

 

약아혀유. 그런데 한국은 어떤가유? 중국이 당장 망할 듯 등을 돌리쥬. 러시아랑은 아예 적국이라는 듯 덤벼유. 일본은 입으로는 그려도, 행동은 정말 조심하지유. 러시아가 일본 비방하는 것 봤남유? 뭐 한국이 만만하기도 하지만, 괜실히 빌미만 주잖여유.

 

다시 물을께유?

미중 갈등에서도 미국이냐, 중국이냐? 당연히 미국이 중요허쥬. 미국은 여전히 세계 최강의 나라유. 세계 최대의 경제체유. 미국 편을 드는 게 당연허쥬.

그건 질문도 아니유. 그런데 질문을 바꿔보면 답을 또 달라져유.

 

그럼 중국이 망해야 하나유? 실제 한국인 가운데 적지 않은 사람들이 희망하는지도 모르지유.

일단 이 질문의 답보다 먼저 다른 질문의 답부터 봐유.

 

그럼 중국은 망할 것인가? 역시 많은 한국 지식인들은 자신의 희망을 투영해서 이야기 하쥬. 이대로 가면 중국은 망한다.

글씨유... 청나라 말기 이야기부터 해볼께유. 청나라가 망했시유. 아시아 최강이던 중국도 힘을 잃어지유. 오죽했으면 일본이 당대 첨단 무기를 들고 중국을 무자비하게 침공했을까유. 그런데 중국이 망했나유?

당시 장개석은 묘한 작전을 써유. 간단히 중국 전역을 싸움터로 만드거유. 후퇴를 하면서 일본이 전선을 중국 전역에 걸쳐 갖도록 늘린거유. 사람 수가 많고 땅이 넓은 중국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했지유. 첨단 무기를 지녔지만 수가 적은 일본군은 자연히 넓은 전선을 커버하면서 지역마다 그 수가 더 적어지게 됐지유.

그렇게 했더니, 일본은 더 이상 진격을 못해유. 이게 중국이유.

 

경제 이야기 할까유? 청나라 말기 중국 부자들의 소비행태를 역대 최고의 ‘퇴폐’라고 해유. 간단히 청나라가 망해도 중국 부자들은 여전히 부자였다는 소리유. 중국 시장이 그만큼 크다는 이야기유.

그걸 포기한다, 좋아유. 그럼 우린 일본을 영원히 이길 수 없지유. 일본은 세계 시장을 보고 무역하는 데, 우리는 미국과 유럽 시장만 보고 무역을 하니까 그렇지유.

 

개도 아는 걸, 사람이 모르면 되남유. 그런데도 그걸, 한국에서는 똑똑하다는 정치인, 대학교수들이 부추겨유. 참 나. 개만도 못한 것들 아닌감유. 멍멍!!

 


사회

더보기
중국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중국 소비시장의 최소한의 질적 보장, 노인 소비자 보호 등 2대 가치 내세워 눈길
“중국의 ‘3·15 방송’을 아시나요?” 중국 소비자 목소리를 대변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한국으로 치면 과거 ‘2580’ 등과 같은 형식이다. 기업 제조 과정의 문제점을 심층 취재해 고발한다. 방송의 3·15는 3월 15일을 의미한다. 중국의 소비자 권익의 날이다. 프로그램은 이날 방송된다. 이 프로그램의 타깃이 된 기업은 사실상 경영이 끝났다고 봐야 할 정도로 중국에서는 치명적인 힘을 지니고 있다. 최근 이 방송이 중국 소비관련 두 가지 문제를 짚어 주목된다. 첫째, ‘가성비’는 소비자들의 공통된 요구다.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입점 업체 간의 치열한 경쟁, 그리고 ‘내가 가격을 낮췄다’라는 라이브 커머스의 가격 인하 경쟁이 심화되면서, 많은 상품의 가격이 점점 더 낮아지고 있다. 하지만 ‘품질’은 사정이 다르다. 가격이 지나치게 낮아지면서 기업들의 이윤이 극도로 줄어들자, 일부 업체들은 생존을 위해 품질을 희생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심지어 ‘흑백 양면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도 있다. 대기업 브랜드 제품은 정규 공장에서 생산해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는 반면, 중소 유통 경로를 위한 제품은 품질을 무시한 채 생산해 폭리를 취하는 방식이다. 일부 업체들은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