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네티즌 수 10억 9200만 명, 인터넷 보급률 77.5%

 

'10억 9200만 명'

중국의 2023년 12월말 기준 인터넷 이용자 수다. 중국 인국의 3분의 2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인터넷 이용자를 망민(網民)이라고 부른다. 인터넷 주민이라는 뜻이다.

중국 공업정보화부 산하 중국인터넷네트워크정보센터(CNNIC)가 22일 '제53차 중국 인터넷 발전 통계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중국 인터넷 사용자 수는 10억 9200만 명에 달해 전년 동월 대비 2480만 명 증가했다. 또 인터넷 보급률은 1.9%포인트 증가해 77.5%에 달했다. 

보고서는 중국에서 인터넷이 새로운 산업화를 촉진하고 새로운 생산력을 개발하며 경제 및 사회 발전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지난해 중국의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이 지속적으로 강화됐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기준 최상위 도메인 이름 'CN' 수는 2013만 개, 인터넷 광대역 접속 포트 수는 11억 3600만 개로 집계됐다.

또 중국내 모든 현급 시와 군을 포괄하는 총 337만 7000개의 5G 기지국이 건설되었으며, 셀룰러 IoT 최종 사용자가 23억 3200만 명에 달해 전년 동월 대비 4억 8800만 명이 증가했다.

이동통신망의 질적 발전도 이뤄졌다. 5G와 기가비트 광네트워크로 구성된 '더블 기가비트' 네트워크는 지능형 제조업, 스마트시티, 농촌 활성화, 문화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 발전을 종합적으로 추진해 제조업 강국 건설을 위한 탄탄한 기반과 토대를 제공했다.

공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적용 범위도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온라인 차량 호출과 인터넷 의료 이용자 규모가 2022년 12월 대비 각각 9057만 명(20.7%), 5139만 명(14.2%) 증가했다. 온라인 여행 예약 이용자 수는 5억 900만 명으로 2022년 12월보다 8629만 명(20.4%) 증가했다.

한편 도시와 농촌의 인터넷 환경 격차도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12월 기준 중국 농촌지역 인터넷 보급률은 66.5%로 전년 동월 대비 4.6%포인트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