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광저우자동차그룹(GAC), 2026년부터 전고체 배터리 탑재 전기차 양산

 

IT시대가 도래하면서 첨단 배터리는 세상의 모든 사물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배터리를 통해 반도체가 언제 어디서는 작동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중국 국영 광저우자동차그룹(GAC)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All Solid Battery, ASB)가 탑재된 전기차를 세계 최초로 선보인다.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중국이 가장 앞선 행보를 보이고 나선 것이다. 그동안 배터리 기술은 한국이 가장 앞섰으나 이제 그 자리를 중국에 넘겨줄 처지가 되고 있다. 

GAC는 지난 12일 광저우에서 열린 'GAC 기술의 날' 행사에서 전기차 자회사인 'GAC아이온(Aion)'의 '아이온 하이퍼' 모델에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해 2026년부터 출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GAC는 자사의 전고체 배터리가 현재 대량 생산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체적 에너지 밀도가 52%, 질량 에너지 밀도는 50% 이상 높다고 밝혔다.

또 100%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고 작동 온도 범위는 -40℃~100℃, 에너지 밀도는 400Wh/kg 이상, 주행거리(배터리 수명)은 약 1000㎞라고 설명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온도 변화에 따른 화재 위험이 낮고 에너지 밀도는 높여 주행거리를 대폭 늘릴 수 있다.

현재 BMW, 폭스바겐, 도요타, 닛산, 포드, GAC, SAIC(상하이자동차그룹), 창안(長安) 등 8개 이상의 자동차 기업이 전고체 배터리 탑재 전기차 출시 계획을 발표했지만 실제 상용화는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도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배터리 업체들이 ASB 사업 추진팀을 신설하며 차세대 배터리 주도권 경쟁에 나선 상태다.

특히 삼성SDI는 국내 업계 최초로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구축해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