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이징현대와 CATL, 전기차 경쟁력 제고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현대차의 중국 합작법인인 베이징현대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1위 기업인 CATL(닝더스다이, 寧德時代)과 전략적 파트너십 협약을 맺었다.

중국에서 전기자동차 생산에 더욱 힘쓰겠다는 사인으로 읽힌다.

26일 CATL에 따르면 두 기업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4년 만에 열린 '오토 차이나(Auto China) 2024'(베이징 모터쇼)에서 베이징현대가 추진 중인 중국 현지화 EV 프로젝트에 대한 협력과 더불어 CATL 배터리로 작동하는 미래 베이징현대 전기차 모델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

베이징 모터쇼 현대차 전시관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오익균 현대차 중국사업담당 부사장, 쩡위친(曾毓群) CATL 회장 등이 참석했다.

오 부사장은 "이번 협약으로 현대차의 전동화 기술력과 CATL의 배터리 기술력의 유기적인 조합을 이뤄내 중국 신에너지차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베이징현대는 이번 협약을 통해 향후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개발된 CTP, NP 등 CATL의 최신 배터리 기술을 탑재한 전기차 모델들을 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CATL은 자사가 보유한 기술을 활용해 베이징현대와 협력하여 고품질의 자동차를 만들고 중국내 베이징현대의 사업 성장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CATL은 이번 베이징 모터쇼에서 최근 개발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신싱플러스'를 공개했다.

신싱플러스는 10분 충전에 600㎞ 주행, 완충 시 1000㎞ 주행이 가능한 제품이다. 3세대 모듈리스 기술을 기반으로 시스템 최적화를 이뤄내 배터리 모듈 효율을 극대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