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초등학생 무료 수영 강습, 모범 사례를 따라해보면 어떨까

본래 중국은 수영의 나라였다. 마오쩌둥, 덩샤오핑 등 중국의 주요 지도자들은 모두 수영을 즐겼고, 수영으로 건강관리를 했다.

자연히 중국 곳곳에 수영장이 만들어졌고, 지역 주민들 모두가 쉽게 즐기는 운동이 됐다.

하지만 개혁개방으로 이 같은 사정은 엉뚱하게도 달라졌다.

수영장은 사실 설비 가성비를 뽑기 힘든 체육시설 가운데 하나다. 넓은 수영장이 필요하고, 수질관리, 안전 요원 등의 고정 관리비가 적지 않게 들어간다.

수질이 조금이라도 나쁘면, 비싸게 잘 만들어 놔도 이용자가 적은 게 수영이다.

자연히 운영하려는 이들이 적어졌고, 최근 들어 중국에서는 수영하는 곳을 찾기 힘든 상황이 만들어지고 있다.

그런데 올 여름 저장성 자싱시의 초등학교 3학년~5학년 학생들은 무료로 수영 강습을 받을 수 있게 돼 화제다. 네티즌들 역시 크게 반기고 나섰다.

정부의 민생 실천 사업에 초등학생을 위한 수영 강습이 포함되면서 학교, 체육관, 수영장 등의 공익 교육 공간을 마련한 것이다.

현재 자싱시의 일부 지역에서는 온라인 접수 창구를 통해 수강생을 모집하고 있다. 강습은 7월과 8월에 진행되며 매회 10회 강습을 한다.

이와 같이 공공 수영 강습에 대한 소식을 접한 일부 다른 도시의 학부모는 자녀의 수영 강습을 위해 연간 수백만 위안을 지출해야 한다는 사실을 떠올리게 된다. 강습 장소와 교강사에 제한이 있다보니 어린이 수용 교육은 일반적으로 굉장히 비싸지만 많은 학부모가 비싼 강습료를 내서라도 교육을 시키고자 한다. 이는 수영 교육에 대한 수요가 매우 크지만 공급은 상당히 부족하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이번에 자싱시는 사회 공공 자원을 활용하여 어린이들에게 무료 수영 수업을 제공하기로 했다. 이는 각 가정의 수영 교육에 대한 수요를 파악한 것이다. 수영은 일종의 생존 기술이다. 특히 강변이나 해변에서 어린이 익사 사고가 종종 발생하여 가슴 아픈 소식이 들려오곤 한다. 어린이들이 수영을 배운다면 익사 사고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민간에만 수영 교육을 전적으로 맡긴다면 학부모의 부담이 매우 커지고 수영 강습에 대한 접근성도 떨어질 것이다.

물론 공공 수영 강습에도 강사 교육 및 처우, 미성년자의 안전 등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다. 모범적으로 공공 수영 강습을 시행한 도시에서 이러한 걸림돌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찾아 앞날을 밝혀 주기를 기대한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