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546개의 기상 레이더 갖춘 세계 최대 기후 관측망 구축 완료

 

중국이 세계 최대 기상 레이더 관측망을 구축했다.

이제 중국 전역에서 가장 첨단의 기술로, 보다 정확한 일기예보가 가능해진 것이다. 일기를 제대로 파악하는 일은 농업은 물론, 기술 산업에 있어서도 갈수록 중요한 일이 되고 있다.

반도체의 생산공정은 물론, 각종 바이오 제품 생산에서 날씨는 중요한 변수다. 

 

2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기상청은 1일 기자회견을 열고, 자체 구축한 기상 레이더 관측망을 소개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관측망에는 총 546개의 기상 레이더로 구성됐다. 이 레이더는 지상 1㎞ 위에서 중국 전역의 43.6%의 기후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추고 있다.

중국 기상청은 이 같은 성능을 통해 대기 중 구름과 비의 상태와 그 변화를 감지해 보다 정확한 지역적 기후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대 산업에 일기예보가 갈수록 중요해지는 이유는 '운영 및 인프라에 미치는 영향'이 갈수록 커지기 때문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및 데이터 센터는 폭염이나 폭풍과 같은 기상 이변으로 인해 그 운영이 중단될 수 있다. 예측 예측은 전력 수요를 준비하고 인프라를 보호하는 데 일기예보의 정확성을 큰 도움이 된다.

 

또 일기예보는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효과적으로 탐색하는 항공 시스템, 드론, 자율주행차의 안전한 작동을 위해 필수적이다.

여기에 날씨 관련 예측을 통해 보험사는 위험을 평가하고 업계와 소비자를 위한 더 나은 정책을 설계하여 재정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중국 기상청은 이 같은 관측망을 더욱 발전시켜, 오는 2035년까지 연평균 강수량 400mm 이남의 카운티 수준 이상의 행정 구역과 재난이 발생하기 쉬운 외딴 지역까지 정밀 관찰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계획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