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代替郎朗出席柏林爱乐乐团演出——钢琴家赵成珍


       《2017 Simon Rattle&柏林爱乐乐团访韩公演》中的协奏者由钢琴家赵成珍代替出席。锦湖韩亚文化财团发表声明称,将于11月19日在首尔瑞草区艺术殿堂音乐厅举行的柏林爱乐乐团访韩公演,原定协奏者中国钢琴家郎朗因受左臂腱鞘炎的困扰无法出席,韩国钢琴家赵成珍将顶替郎朗进行演奏。
       柏林爱乐乐团决定采用锦湖韩亚文化财团的提议,邀请钢琴家赵成珍参加德国、香港和韩国的演出。在韩国公演开始前的11月4日,赵成珍将在德国柏林爱乐厅与柏林爱乐乐团一同登台演出。之后在法兰克福、香港演出,并于19日登上韩国舞台。
       《2017 Simon Rattle&柏林爱乐乐团》访韩公演将于11月19日与20日在艺术殿堂音乐厅内举行。19日,柏林爱乐乐团将与赵成珍共同演奏拉威尔的《G大调钢琴协奏曲》和勃拉姆斯的《第四交响曲》,20日演奏拉赫玛尼诺夫的《第三交响曲》,并将在韩国首演由陈银淑作曲的《Chorós Chordón》。

 

钢琴家赵成珍被选定为2017 Simon&柏林爱乐乐团访韩公演协奏者。


       赵成珍在2015年获得肖邦国际钢琴比赛冠军,成为首位在此赛事中夺冠的韩国人,一举成为世界级的古典音乐明星。迄今为止与柏林爱乐乐团共同演奏过的韩国演奏家只有小提琴演奏家金永旭、莎拉·张(张永宙)和郑京和等人。赵成珍表示“衷心希望亲爱的郎朗能早日康复”,“能代替郎朗与柏林爱乐乐团一起演奏音乐,我感到非常荣幸和高兴”。
       此外,“锦湖韩亚管弦乐系列”于2003年首次亮相后,至今为止共举行了18场邀请演出。第六次进行访韩演出的柏林爱乐乐团,于1984年和卡拉扬首次来韩,并于2005年、2008年、2011年和2013年举行了公演。

 

笔者 张雨 出处 news 1

 

 

랑랑 대신 베를린 필하모닉 협연자로 나선다

 

피아니스트 조성진

 

2017 사이먼 래틀 & 베를린 필하모닉 내한공연에서 협연자가 피아니스트 조성진으로 대체됐다.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은 11월19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베를린필 내한공연에서 협연자였던 중국 피아니스트 랑랑이 왼팔건초염 증상으로 연주를 취소했으며 그를 대신해 조성진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베를린 필하모닉은 대체 프로그램으로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이 제안한 피아니스트 조성진의 협연무대를 독일과 홍콩, 한국에서 선보이기로 했다. 조성진은 한국 공연에 앞서 11월4일 독일 베를린 필하모니홀에서 베를린 필하모닉과의 공식 데뷔무대를 갖는다. 이어 프랑크푸르트, 홍콩에서 협연을 펼친 뒤 19일 한국무대에 오른다.
'2017 사이먼 래틀 & 베를린 필하모닉' 내한공연은 11월 19일과 20일 두 차례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만날 수 있다. 베를린필은 19일에 조성진이 협연하는 라벨의 피아노 협주곡 G장조를 비롯해 브람스 교향곡 4번을 연주하고, 20일에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3번과 진은숙 작곡의 <코로스 코로돈>을 국내 초연한다.
조성진은 2015년 한국인 처음으로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세계적인 클래식 스타로 떠올랐다. 지금까지 베를린 필하모닉과 협연 무대에 오른 한국인 연주자는 바이올리니스트 김영욱과 사라 장, 정경화 등에 불과했다.
그는 "친애하는 랑랑의 빠른 쾌유를 진심으로 바란다"며 "랑랑을 대신해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연주를 하게 돼 영광스럽고 기쁘다"고 했다.
한편, '금호월드오케스트라 시리즈'는 2003년 처음 시작돼 지금까지 총 18회 초청공연을 선보였다. 여섯번 째 내한하는 베를린 필은 1984년 카라얀과 첫 내한을 시작으로 2005년, 2008년, 2011년, 2013년 공연을 한 바 있다.

출처 news1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