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올 1~10월 예산수익 전년동기보다 1% 이상 줄어 ...단 10월에는 반등

중국의 지난 10월 공공예산 수익이 전년동기 보다 5.5% 늘었다. 다만 지난 1~10월 간에는 1.3% 줄었다.

중국 지방 정부의 재정 악화 우려가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중앙 정부 예산 수익이 다시 상승 반등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20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재정부는 18일 데이터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전국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18조 4,981억 위안(약 3,564조 3,98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 동기간 중소기업과 소규모 기업의 납세 유예가 기저효과를 높였던 점, 그리고 지난해 중반에 도입된 감세 정책의 후속 효과로 인해 수입이 감소한 특별한 요인을 제외하면, 수입은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월별 데이터로 보면, 10월 전국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5.5% 증가했으며, 전국 세수 수입은 1.8% 증가했다.

“10월에는 재정 수입 증가율이 5.5%에 달하며 월별 증가폭이 계속 회복되었다. 또한 당월 세수 수입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며, 올해 처음으로 전년 대비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라고 중국 재정과학연구원 원장 양즈융은 밝혔다. 그는 재정 수입 데이터의 변화가 경제 회복 추세의 강화된 모습을 반영한다고 덧붙였다.

중앙과 지방으로 나누어 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중앙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8조 2,482억 위안(약 1,589조 3,45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줄었다. 지방 일반 공공예산 본급 수입은 10조 2,499억 위안(약 1,975조 532억 원)으로 0.9% 늘었다.

재정 지출 측면에서는,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전국 일반 공공예산 지출이 22조 1,465억 위안(약 4,267조 4,09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늘었다. 중앙과 지방으로 나누어 보면, 중앙 일반 공공예산 본급 지출은 3조 2,658억 위안(약 629조 2,870억  원)으로 7.9% 늘었고 지방 일반 공공예산 지출은 18조 8,807억 위안(약 3,638조 1,220억 원)으로 1.8% 증가했다.

각급 재정부는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충실히 이행하고 재정 자원의 통합을 강화하며, 기본 민생과 중점 분야의 예산 지원을 확대하여 재정 지출 강도를 유지했다. 주요 지출 항목을 살펴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교육 지출은 3조 2,573억 위안(약 627조 6,49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늘었고 과학기술 지출은 7,421억 위안(약 142조 9,952억 원)으로 1.1% 증가했다.

사회보장 및 고용 지출은 3조 4,931억 위안(약 673조 854억 원)으로 5.1% 증가했으며, 도시와 농촌 지역사회 지출은 1조 6,462억 위안(약 317조 2,062억 원)으로 6.6% 늘엇다. 농림수산 지출은 1조 9,967억 위안(약 384조 7,441억  원)으로 10.4% 증가했다.

양즈융은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재정 정책이 계속적으로 시행되면서, 연간 예산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 재정은 경제와 사회 발전에서 더욱 충분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