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전기차 생산 1000만대 돌파] 중국, 경제의 정치화에 각국이 경계...전기차 산업 무너지면 중국 경제인 큰 타격

3.

‘성공이냐, 실패냐’

중국 전기차 산업은 극단적 갈림길을 놓고 달려만 간다. 중국 당국은 성공을 자신하고 있지만, 미국과 유럽은 우려도 하면서 관세부가 등의 조치로 중국 전기차 산업 질주에 제동을 걸기 위해 힘쓰고 있다.

중국 전기차 산업의 무엇이 미국과 유럽을 두렵게 만드는 것일까?

 

경제와 정치가 분리되지 않는 중국 사회의 특성 때문이다. 물론 미국이나 유럽 역시 모든 산업은 당국의 규제를 받는다. 규제를 위해 국민적 합의 형태인 국회의 입법 과정을 통해 법제화하는 툴도 있다.

하지만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국민적 합의기구인 국회 논의 과정을 통해 경제 각 분야의 주체들의 입장이 반영된다. 심지어 국외 기업들의 입장까지 고려된다.

 

이 같은 민주제도와 자유시장과 달리 중국은 당국이 모든 것을 결정하면 되는 구조다. 당국이 마음을 먹으면 국제사회에서 금기시하는 보조금 지급도 얼마든 가능하다.

실제 중국 전기차 산업은 이 같은 당국의 비호 속에 급성장했다. 당국은 급성장을 지원하면서 성장한 산업의 남다른 과실도 노리고 있다. 바로 산업정보의 정치적 이용이다.

지난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베이징이공대학을 통해 건설하고 운영하도록 위임한 신에너지 차량 국가 감독 플랫폼에서 100만 대의 신에너지 차량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일정 연도의 차량 운행거리, 차량 운행 궤적, 충전 히트맵, 버스 에너지 소비량 모니터링 맵 등의 정보다. 이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의 빅데이터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국제사회는 중국 당국의 이러한 관행을 경계하고 있다.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의 중국 연구원 왕송롄(Wang Songlian)은 최근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는 사람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항상 알고 싶어한다”며 “차량 추적이 광범위한 감시의 초점”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중국 당국은 각종 종합계획을 통해 스스로도 정보 수집의도를 숨기지 않고 있다. 예컨대 지난 2020년 말 중국 국무원은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계획(2021~2035)'을 발표했다. 이 계획의 7장 3절에는 “신에너지 차량과 정보통신의 통합 개발을 촉진해야 하며, 신에너지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사람-차량-도로-클라우드' 다층 데이터 융합 및 컴퓨팅 처리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물론 중국 당국이 수출 차량까지 이 같은 플랫폼 구축에 활용하는 지 여부는 알 길이 없다. 하지만 국가 차원에서 우려되는 일인 것도 사실이다. 그만큼 중국의 전기차 개발은 중국 정부의 정치적 통제의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중국의 전기 자동차의 대외적 발전은 여전히 ​​정치적 통제 논리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사실상 중국이 수출로 확보를 위해 추진했던 ‘일대일로’ 정책과 그 성격이 유사하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지속적으로 전기차 수출을 촉진할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그래야 자동차 부품과 배터리 수출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 같은 중국 당국의 전기차 전략은 단기적인 경제 문제만을 해결할 뿐 장기적으로 과잉 생산 및 기타 문제로 인해 이 산업은 3~5년 내에 쇠퇴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만약 전기차 산업이 실패하면 중국의 전반적인 경제와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