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임산부 10만명당 사망률 15.1명...선진국 수준

 

‘10만명당 15.1명’

중국의 지난 2023년 현재 임산부 사망률이다. 중국의 임산부 사망률이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했다. 특히 도시 임산부 사망률은 10만명당 12.5명으로 12% 이상 줄었다.

OECD 가입국 평균은 8.9명이다. 중국은 평균보다 높지만 1위인 미국의 22명 보다 크게 적은 수치다. 한국은 2020년 기준 11.8명이다.

CCTV 웹사이트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최근 여성 건강, 교육, 경제, 의사 결정 및 관리, 사회 보장, 가족 건설, 환경, 법률 등 8개 분야에서 여성의 활동 정도를 분석한 자료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앞서 중국 당국이 추진중인 <중국 여성 발전 강요(2021-2030년)>(이하 <강요>)의 시행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이뤄졌다. 통계 모니터링 지표 체계 및 관련 부서의 데이터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됐다.

분석 결과, 지난 2023년 중국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명당 15.1명으로, 2022년 대비 3.8% 감소했다. 농촌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명당 17.0명, 도시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명당 12.5명으로 12.6% 감소했다.

생식 건강 촉진 행동 방안(2023-2025년)>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여성 및 아동 보건 기관 역량 강화를 적극 추진하였다. 2023년 혼인 전 의학 검사율은 76.5%로, 2022년 대비 1.7%p 증가했으며, 임산부 체계적 관리율과 산전 선별 검사율은 각각 94.5%, 91.3%로 각각 0.9%p, 2.6%p 증가했다. 임산부 병원 출산율은 계속해서 99.9%를 유지하였으며, 출산 후 방문율은 97.0%로 0.5%p 상승했다.

<에이즈, 매독 및 B형 간염 모자 감염 제거 행동 계획(2022-2025년)>을 심층적으로 추진하고, 예방 조치를 여성 및 아동 보건 업무와 임신·출산 기간 서비스에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에이즈 세대 간 전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2023년 에이즈 모자 감염률은 1.3%로, 2022년 대비 1.7%p 감소했다. 베이징, 장쑤, 후난, 광둥, 윈난 등 5개 성에서는 모자 감염률이 2% 이하 목표를 선제적으로 달성했다. 에이즈 감염 임산부의 신생아 항바이러스 약물 투여율은 99% 이상을 유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