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1~2월 펀드 투자 1500억 위안 훌쩍 넘어서

‘1,528억 위안’

한화로 약 30조 6,501억 원 가량이다. 올 1~2월 간 신규 출시된 펀드의 첫 공모 규모다. 중국 증시가 2025년 기분 좋은 출발을 하고 있다.

징지관찰왕 등 중국 매체들은 ‘Wind 데이터’를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첫 두 달 동안 신규 출시된 펀드의 첫 공모 모집 규모는 1,528억 위안(약 30조 6,50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53% 증가했다. 2024년 같은 기간 신규 출시된 펀드의 첫 공모 모집 규모는 약 998억 위안(약 20조 188억 원)이었다.

신규 출시된 펀드 중에서 ‘푸궈잉허쩐쉬안(富国盈和臻选) 3개월 보유’의 첫 공모 모집 규모가 가장 컸으며, 60억 위안(약 1조 2,035억 원)에 달했습니다. ‘젠신중채 0-3년 정금채(建信中债0-3年政金债) 지수’와 ‘중인춘리(中银淳利) 3개월 보유’ 두 상품의 첫 공모 모집 규모도 각각 50억 위안(약 1조 29억 원)을 넘어섰다.

주목할 만한 점은 2월 말, 첫 번째 ‘과창종합지수(科创综指) ETF’들이 성공적으로 공모를 마쳤으며, 총 모집 규모가 200억 위안(약 4조 118억 원)을 초과했다는 것이다. 2월 28일, 가장 먼저 공모를 마친 ‘젠신과창종합지수(建信科创综指) ETF’가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현재, 조기 공모 종료가 많은 주식형 펀드의 선택지가 되고 있으며, 일부 상품은 모집 기간을 하루로 단축하기도 했다. 2월 이후 20개 이상의 펀드가 공모 조기 종료를 발표했으며, 이들 중에는 액티브 주식형 펀드뿐만 아니라 패시브 ETF 상품도 포함되었다.

3월에는 더 많은 상품이 출시될 예정이다. 이 중 일부 상품은 운용사 리서치 및 투자 부서 책임자가 펀드매니저를 맡는다. 예를 들어, 3월 3일, 외국계 공모펀드 운용사인 루보마이펀드(路博迈基金)가 회사의 첫 번째 퀀트 상품인 ‘루보마이 중증 A500(路博迈中证A500) 지수 강화형 펀드’를 출시할 예정이며, 이 상품의 운용은 회사 부총경리이자 투자총감독인 웨이샤오쉬에(魏晓雪)가 맡을 계획이다. 같은 날, 또 다른 외국계 공모펀드 운용사인 안롄펀드(安联基金)도 회사의 첫 번째 채권형 상품인 ‘안롄안위(安联安裕) 채권형 펀드’를 출시할 예정이며, 이 상품은 회사 채권 투자 부서 총경리인 수위핑(苏玉平)이 운용을 담당할 예정이다.

3월 10일에는 ‘하이푸퉁 배분 우선(海富通配置优选) 3개월 보유’가 출시될 예정이며, 이 상품의 예정된 펀드매니저인 주윈(朱赟)은 하이푸퉁펀드(海富通基金) FOF 투자 부서 총감독이다. 같은 날, 보다오펀드(博道基金) 퀀트 투자 부서 총감독이자 부서 총경리인 양멍(杨梦)이 운용을 담당하는 ‘보다오 중증 800(博道中证800) 지수 강화형 펀드’도 공모를 시작할 예정이다.

중국증권보(中国证券报) 중증진우좌(中证金牛座) 기자는 3월에 시장에서 여러 개의 중증 A500(中证A500) 테마 지수 강화형 펀드가 출시될 예정이라는 점도 주목했다. 중진펀드(中金基金), 중타이자산관리(中泰资管), 푸안다펀드(富安达基金), 후이톈푸펀드(汇添富基金), 하이푸퉁펀드(海富通基金), 농은행리펀드(农银汇理基金), 융잉펀드(永赢基金), 런바오펀드(人保基金) 등 여러 공모펀드 운용사가 중증 A500 지수 강화형 펀드를 곧 출시할 예정이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