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수도 베이징’
베이징이 중국 디지털 산업의 중심지로서 거듭나고 있다. 베이징 시의 디지털 핵심 산업 부가가치는 지난해 전년보다 10% 이상 두 자릿수 성장에 성공했다.
중국은 기존 제조업에 디지털을 얹어 ‘디지털+’ 산업 구조로의 변신을 꾀한 지 오래다. 베이징이 중국 당국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이는 중국 국가통계국과 베이징시 통계국이 공동으로 발간한 공보에서 잘 드러난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분석이다.
《공보》에 따르면, 베이징은 새로운 성장 동력을 축적하며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다. 글로벌 디지털 경제 선도 도시 건설을 가속화한 결과, 명목 가격 기준으로 도시 전체 디지털 경제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7.7% 증가했고, 이 중 디지털 경제 핵심 산업 부가가치는 10.1% 증가했다.
국제 과학기술 혁신 센터 및 글로벌 디지털 경제 선도 도시 건설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국제 소비 중심 도시 육성도 탄탄하게 추진되고 있다. 소비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업그레이드되었으며, 2024년 한 해 동안 대형 상업 시설 17곳이 새로 개장해 총 150만㎡ 이상의 상업 면적이 추가되었다. 또한, 신규 개점한 브랜드 매장은 960개로 전년 대비 14개 증가했다. 2024년 말 기준으로 출국 면세점은 1,147개에 달해 전국 최다를 기록했다. 새로운 소비 모델도 빠르게 성장하여 대형 유통·소매업, 숙박·요식업의 온라인 소매 판매액이 전체 사회 소비재 소매 판매액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즉시 배송 유통 모델도 빠르게 발전해 편의점, 슈퍼마켓, 창고형 회원점 등에서 공공 네트워크를 통해 발생한 소매 판매액이 9.4% 증가하여 전년 대비 4.9%p 상승했다.
한편,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 협력 발전도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었다. 2024년에는 일반 제조업체 104곳을 이전·재정비했고, 도시 부도심 건설은 5년 연속 1,000억 위안(약 20조 2,210억 원) 이상의 투자가 이루어졌다. 베이징 안전병원 통저우 캠퍼스가 개원했으며, 베이징에서 톈진·허베이로 이전된 기술 거래액이 843.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또한, 반도체 및 차세대 정보기술 응용 혁신 등 5개 국가급 첨단 제조업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지정되었다.
《공보》에 따르면, 2024년 베이징 시민들의 소득도 꾸준히 증가했다. 연간 1인당 가처분 소득은 85,415위안으로 전년 대비 4.5% 증가했으며, 도농 소득 격차는 7년 연속 축소되었다. 사회 보장과 민생 복지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공공 예산 지출에서 교육, 사회 보장 및 고용, 의료 보건 지출이 전체의 약 40%를 차지했다.
2025년에는 내수 확대, 개혁 촉진, 시장 기대 안정, 리스크 방지, 취약점 보완, 새로운 생산력 육성을 통해 베이징의 고품질 발전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