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보다 농촌이 더 늘었다”:
중국 올 1~2월 소비 현황에서 나타난 결과다. 중국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소비 진작을 위해 막대한 재정 정책을 펼치고 있다.
도시보다 농촌에서 소비가 늘었다는 것은 중국의 재정정책이 도시보다 농촌에 집중됐었다는 방증이다. 중국이 농촌도 살리고, 소비도 살리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노리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 소비촉진사(司)는 올 1~2월 소비 상황에 대한 브리핑을 했다.
이 자리에서 나온 자료에 따르면 올 1~2월 사회소비재 소매총액은 8조 3,700억 위안(약 1,686조 8,06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지난해 전체보다 0.5%포인트 빨라졌다.
중국 소비촉진사 관계자는 “올 들어 소비재 교체 지원 정책 확대 등의 영향으로 소비시장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에 따르면 올 1~2월 1~2월 상품 소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지난해 전체보다 0.7%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재 교체 지원 정책이 지속적으로 효과를 내면서,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체에서 통신기기 및 문화·사무용품 소매액이 각각 26.2%와 21.8% 증가했다. 또한 가구와 가전제품 소매액은 각각 11.7%와 10.9% 늘어났다.
무엇보다 넷째, 농촌 지역 소비가 도시보다 빠르게 증가했다. 1~2월 농촌 지역 소비재 소매액은 1조 1,300억 위안(약 227조 7,28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해 도시보다 0.8%포인트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농촌 지역 소매액이 사회소비재 소매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5%로 전년 동기 대비 0.1%포인트 상승했으며, 읍·면 및 농촌 지역을 포함한 소비재 소매액 비중은 38.4%로 전년 동기 대비 0.3%포인트 상승했다.
부유한 농촌은 중국 공산당 집권이래 매년 강조해온 정책 과제다. 하지만 국가 경제 운영의 방점을 성장에 두면서 부유한 농촌은 전시 행정의 목표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벌어지는 '관세전쟁'을 계기로 중국 당국이 내수 시장 육성에 나서면서 '부유한 농촌' 실현에도 나설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