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7월말 현재 외환보유고 3조3000억 달러 육박...20개월 연속 3조2000억 달러 상회

금보유도 7개월 연속 늘려...전문가, "중국 미 국채 비중 줄이고 금 보유 늘리는 추세 이어갈 것"

 

‘3조 2,922억 달러’

한화로 4,579조 1,209억 8,000만 원 가량이다. 지난 7월말 현재 중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다. 전월보다 252억 달러, 0.76% 소폭 줄었다.

하지만 중국의 외환보유고는 지난 20개월 연속 3조2000억 달러를 상회하고 있다. 금보유량은 늘렸지만, 달러 가치 상승에 따라 자산 평가 달러액수가 준 것이다.

 

차이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7월말 중국의 외환보유액 달러 가치는 3조 2,922억 달러로, 6월 말 대비 252억 달러(0.76%) 줄었다.

중국 당국은 “7월 거시경제 지표, 통화 정책, 주요 경제국의 전망 등의 영향으로 미국 달러 지수가 상승하고 세계 금융 자산 가격이 변동했다”고 밝혔다.

환율 환산과 자산 가격 변동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해당 월의 외환보유액이 감소했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의 경제 기반은 안정적이며, 여러 장점과 강력한 회복력, 그리고 막대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오리엔트증권의 수석 거시경제 분석가인 왕칭은 다양한 기준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3조 달러를 약간 웃돌며, 적정 수준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외 환경의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적정 수준의 외환보유액은 합리적이고 균형 잡힌 위안화 환율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잠재적 외부 충격을 견뎌낼 수 있는 안정판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유 외환자산을 보면, 중국 중앙은행은 9개월 연속 금 보유량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중앙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금 보유액은 7,396만 온스(약 2,300.41톤)로 전월 대비 6만 온스(약 1.86톤) 증가했다.

또한 7월 말 기준 중국의 금 보유액은 10억 달러 증가한 2,439억 8,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동안 이 금 보유액은 외환보유액의 7.41%를 차지했는데, 이는 전월 대비 0.09%포인트 상승한 수치이다.

다만 세계 평균인 약 15%에는 여전히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BOC 인터내셔널 증권의 글로벌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관타오는 일방주의와 보호무역주의가 심화되고 다자간 무역 체제가 저해되는 가운데 국제 통화 시스템의 다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안전 자산이자 국제 결제의 최후 보루로서 금의 역할은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도 덧붙였다. 중국 주요 애널리스트들은 “중국은 국제 준비 자산을 꾸준히 다각화해 나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번 중국 외환보유 자산의 달러표시 액수가 준 이유는 달러 지수가 올랐기 때문이다. 달러 가치가 높아지면서 전체 자산의 달러 평가액이 줄어든 것이다.

미국 달러 지수가 상승할 때마다 많은 국가의 외환보유액이 전월 대비 감소하는 것은 비달러 자산의 달러 평가 가치가 줄어들어 생기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거시경제 데이터, 통화 정책, 주요 경제국의 기대감에 힘입어 7월 미국 달러 지수는 이전 5일 연속 하락세를 반전하고 상승세로 돌아섰다. 미국 달러 지수(DXY)는 3.2% 상승한 100.0을 기록하며 5월 말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앞서 연준은 높은 인플레이션 전망과 비교적 견조한 경제 지표를 고려하여 추가 금리 인하를 연기했다. 이에 미국 달러 지수는 3.2% 상승하여 100포인트로 복귀한 것이다. 미국 외 통화는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다. 엔화, 유로화, 파운드화는 각각 4.5%, 3.2%, 3.8% 하락했다.

 

금 보유량과 관련하여, 2025년 7월 말 기준 공식 금 보유량은 9개월 연속 증가했지만, 5개월 연속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중국 중앙은행은 7월에도 금 보유량을 계속 늘렸는데, 이는 주로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세계 정치·경제 환경의 변화 때문이라는 게 중국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기본적으로 중국은 위안화의 기축통화화를 위해서도 이 같은 금보유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중국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현재 금은 중국 공식 국제 준비금 자산의 약 7.0%를 차지하는데, 이는 세계 평균인 약 15%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다. 금 보유량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미국 국채 보유량을 적정 수준으로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게 중국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무엇보다 중앙은행의 금 보유량 증가는 국가 통화의 신뢰성을 높이고 위안화 국제화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세계금협회(World Gold Council)가 6월 17일 발표한 2025년 세계 중앙은행 금 보유액 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중앙은행의 90% 이상이 향후 12개월 동안 금 보유량을 더욱 늘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 비율은 2019년 첫 조사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2024년 데이터 대비 17%p 증가했다.

이 조사는 전 세계 73개 중앙은행의 응답을 수집하여 역대 최고 참여율을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