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픈 임박 '강식당', '꽃청춘' 부진 만회할까

 


[N초점] 오픈 임박 '강식당', '꽃청춘' 부진 만회할까


tvN '사장이 더 많이 먹는 강식당'(이하 강식당)이 마침내 시청자들을 찾아온다. 

오는 12월5일 밤 10시50분 첫 방송이 확정된 '강식당'은 '신서유기 외전'으로 기획된 나영석 PD의 예능 프로그램이다. '강식당'은 '신서유기4'에서 이수근이 나영석 PD의 화제 예능이었던 '윤식당'을 언급하며 시작됐다. '신서유기4' 멤버들이 제주도에서 작은 한 식당을 열어 정성이 담긴 밥 한 끼를 대접한다는 내용을 담을 예정이며 지난 11월3일부터 제주도에서 첫 촬영을 시작해 일주일간 영업을 이어갔다. 

'강식당'은 올해 초 화제의 예능이었던 '윤식당'을 '신서유기4' 멤버들이 패러디한다는 점에서 기획단계부터 많은 관심을 모았다. '윤식당'의 배우 윤여정, 신구, 이서진, 정유미가 각각 맡았던 사장과 알바생, 총무, 막내 등의 역할을 누가 각각 맡게 될지 이들이 어떤 메뉴로 식당을 오픈할지도 많은 이들의 관심사가 됐다. 식당의 주요 메뉴를 선정하는 것부터 식당을 오픈하고 손님을 맞이하게 되는 과정까지 '윤식당'의 서사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안겼던 만큼, '강식당' 역시도 비슷한 맥락에서 재미를 줄 것이라 기대했다. 

하지만 '강식당'은 제주도에서 촬영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스포일러로도 몸살을 앓았다. '강식당' 메뉴를 비롯해 백종원이 합류했다는 소식이 연이어 보도됐다. 또한 제주도 협재에 있는 식당과 동명 상호로도 논란이 일었다. 이미 지난 2월부터 오픈한 동명의 강식당이 존재했지만 굳이 같은 지역에서 촬영을 강행해 논란에 휩싸인 것. 실제 강식당에는 많은 이들의 문의 전화가 쇄도했고 이에 강식당 주인이 제주도 첫 촬영을 시작하는 당일 직접 공식 SNS에 "따라한다는 논란의 대상이 되진 않을까 걱정"이라는 입장을 올리기에 이르렀다.

게다가 '강식당'과 함께 '신서유기 외전'으로 기획된 '꽃보다 청춘 위너'가 기대 이상의 반응을 얻지 못하고 부진하면서 기대감이 동반 하락했다. '꽃보다 청춘 위너'는 11월7일 처음 방송된 1회가 3.4%(닐슨코리아 전국 집계 기준), 2회가 2.4%, 3회가 2.2%, 마지막 4회가 1.7%의 시청률을 각각 기록하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결국 '꽃보다 청춘 위너'는 1회가 자체최고 시청률이 됐고 마지막회에서 자체최저 시청률을 기록하는 성적표를 받아들게 됐다. 이에 '강식당'이 '꽃보다 청춘 위너'와 달리 뒷심을 끝까지 발휘하고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을지도 궁금해지는 부분이다.

현재 '강식당'은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도 오르는 등 방송 전부터 시청자들의 뜨거운 기대를 받고 있는 예능 프로그램이라는 사실은 틀림없다. '강식당'의 콘셉트는 '빅사이즈'로 여타 식당과는 확연히 다른 사이즈의 음식이 예고됐고 콘셉트만으로도 웃음을 주고 있다. 이에 대해 제작진은 "요알못(요리를 알지 못하는)이던 강호동이 돈가스에 대한 자부심을 갖기까지의 험난한 여정이 웃음을 안길 예정"이라고 관전 포인트를 전했다. '꽃보다 청춘 위너'의 부진한 성적표를 넘어 방송을 끝까지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을지 주목되는 시점이다. 글=주민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