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韩国世界文化遗产,东亚文化繁荣灿烂的文化遗产,百济遗址篇


       “就我而言,我感觉自己与朝鲜半岛有某种亲切感。据日本编年史记载,桓武天皇的母亲是古代朝鲜百济武宁王的家族中人。”2001年12月,这句话在日本引起了轩然大波。说这话的人是当时日本的天皇——明仁天皇。其实,日本与百济的密切关系,不用说学界,这是韩国和日本的普通人都知道的事实。但是,在日本皇室血统中,有百济的血统这件事,是一个非常敏感的事情。可是,承认此事的不是别人,正是日本皇室血统的直系天皇本人。百济又重新受到了韩国和日本的瞩目。

在公山城,曾布置了包括百济王宫在内各种设施。


       此后过了16年,2017年,百济仍然是一个隐藏在神秘中的古老国度。据悉,中国《东夷传》评价说,百济只不过是一个位于小小的朝鲜半岛某个角落的小小的氏族国家。另外,也有这样的评价,根据朝鲜初期《三国史记》和《续日本纪》所记,百济不仅对朝鲜半岛和日本列岛产生了深远影响,还是一个对山东有影响的大国。

弥勒寺址是东亚最大规模的寺域。

       未来可能会揭露出其真相,迄今为止,研究证明了《东夷传》的评价是过于刻薄的。由于到目前为止,发掘的遗址非常精密、多样,不能确定百济只统治了朝鲜半岛的小地区。

松山里古坟群是百济王室的陵墓群,以百济王陵或武宁王陵的名字被大众所知晓。


       国际社会也承认了古代东亚百济王朝,于2015年将其遗址列入世界文化遗产名录。“百济历史遗迹地区”由分布在公州市、扶余郡、益山市3个地区的8个考古遗址构成。与公州熊津城有关的公山城和宋山里古坟群、与扶余泗沘城相关的官北里遗址及扶苏山城、定林寺址、陵山里古坟群、扶余罗城、位于益山市地区的泗沘时代百济的第二个首都王宫里遗址、弥勒寺址等。这些遗址展现了475年~660年之间百济王国的历史。被发掘的城郭,上下水道设施或供暖设施充分体现了当代文化水平。只是看修筑在城郭周围的道路,也能猜想到当时的城郭是多么的繁华。
       百济的名字源于隋朝的历史书《隋书》。《隋书》所记,“百济”有“百家济海”的意义。从中可知,百济是一个以海上贸易为基础的国家。其实,百济之后统一朝鲜半岛的新罗,也是一个与中东地区进行海上贸易的海上国家。与现在不同,朝鲜半岛曾是一个以海上贸易为基础的海上国家集合体,这一点可谓是大放异彩。

百济王室为了完善首都泗沘的弱点而建造的别宫遗址——王宫里遗址。


       在另一种意义上,百济文化的特点与拥有女性美的新罗不同,它虽然华丽、精美,但是散发着强烈的男性美。例如,弥勒寺址五层石塔之华丽与石窟庵精致之美的不同。佛像所展现出来的质朴美与只追求华丽、干练的新罗美有很明显的差异。当然,在精密方面,两个国家都拥有很高的水平。尽管如此,百济王朝的面貌在很多方面,仍然被遮盖在历史的迷雾之中。顺着气息,我们一起走向日本皇室之根、历史上神秘的王朝遗址吧。

图片资料提供:文化财厅

三国时期形成的700年王国 百济
       百济是韩国古代的一个国家。公元前18年建国至660年灭亡,700余年间,共有31位国王在位。百济初期是位于汉江(现首尔)中下游的小国,渐渐吞并周边国家,日益壮大起来。在汉江流域建造慰礼成并定都于此的百济,为了复兴国家,曾两次迁都至熊津(现公州)和泗沘(现扶余)。
       公元475年,百济被高句丽攻入失守京城被迫迁都至熊津,因此,公元前18年至公元475年,被称为汉城都邑期。公元475年起,定都公州的时期为熊津都邑期,之后公元538年迁都至泗沘,那段时期为泗沘都邑期。在熊津都邑期和泗沘都邑期内,百济通过海路同国外展开了积极的外交活动。在此期间,百济的科学和技术发展都有了长足进步,这使百济成为了繁荣发展的先进文化国家。但是在公元660年,百济被新罗和唐侵略,都城沦陷,在此后的三年里,百济展开了激烈的复兴运动。但最终百济未能恢复国权,国家就此灭亡。

       百济、高句丽和新罗,一同在韩国的古代文化发展中起到了核心作用。并且作为地处东亚的一个国家,百济还成为了文化交流的中心。百济接纳先进文化,并在此基础上进行改进创新,从而使文化水平达到了一个新的高度。同时百济发挥主导作用,向周边国家传播文化,为东亚文化发展做出了贡献。虽然百济这个国家最终还是灭亡了,但是百济人所创造的丰富文化遗产,仍在百济的故土上留下了不可磨灭的痕迹。曾经的京城,现如今的百济历史遗迹地区,作为百济文化的中心成为了孕育新文化的基础。
资料提供:韩国的古代王国百济(忠清南道 2010)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