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活跃在世界舞台上的青年韩国钢琴家赵成镇和鲜于艺权


       两名20多岁的韩国年轻钢琴演奏家正穿梭于世界的舞台。他们就是钢琴家赵成镇和鲜于艺权。钢琴家赵成镇在两年前,也就是2015年的世界最高权威钢琴大赛第17届肖邦国际钢琴比赛上,获得冠军,这是韩国人首次拿到此项大赛冠军,鲜于艺权在今年美国的范·克莱本国际钢琴比赛上首次夺冠,并在今后3年的时间内安排了国内外多场公演。

 

钢琴家赵成镇(左)和鲜于艺权(右)。


       世界著名交响乐团柏林爱乐乐团艺术总监兼常任指挥家西蒙·拉特在去年11月19日举行的“2017柏林爱乐乐团访韩公演”记者会上谈及赵成镇,“是由老同事钢琴家克里斯蒂安·齐默尔曼推荐作为合演者参与演出的”,“虽然齐默尔曼对包括自己在内的所有钢琴家都持批判态度,但他推荐我听听赵成镇的演奏。齐默尔曼是追求安静的音乐、有深度的钢琴家,他跨越了年龄在音乐方面与赵成镇产生了共鸣”。
       与柏林爱乐乐团合演是23岁钢琴家赵成镇一直以来的梦想。他的另一个梦想——在美国卡内基大厅演奏,也于2017年2月23日得以实现。而实现梦想的出发点则在两年前的2015年肖邦国际钢琴大赛上,他作为韩国人首次拿到比赛冠军。在肖邦国际钢琴比赛中,2005年韩国演奏家林东民、林东赫和孙烈音进入决赛,再次有韩国人入围决赛已是10年之后。
       被称为“比赛之王”的鲜于艺权从18岁开始,每年参加2~4次大大小小的国际比赛,共获得了7次冠军。他说:“多次参加比赛不是为了积攒丰富的经验获得冠军得到演出机会。而是因为经济上的困难,想要继续演奏下去,除了参加比赛没有其他的办法。”
       去年6月,在被誉为“北美肖邦国际钢琴比赛”的美国范·克莱本国际钢琴比赛上,鲜于艺权拿下冠军,这也是韩国人首次拿到这项赛事的冠军。此项赛事的优胜者会得到特别优待。冠军可获得5万美元的奖金,和今后3年间在美国全境及欧洲主要舞台,有数百次演奏的机会。
       关于鲜于艺权的演奏风格,海外媒体好评如潮,最中肯的评价来自《纽约时报》,“他的演奏明晰且充满能量,令人迷醉”。

 

笔者 张雨 出处 news 1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