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NEWS1】강한나, '그사이'로 증명한 배우로서의 가치

 


 

 

 

강한나, '그사이'로 증명한 배우로서의 가치 


배우 강한나가 '그냥 사랑하는 사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강한나는 30일 종영한 JTBC 월화드라마 '그냥 사랑하는 사이'에서 능력과 외모 등 모든 것이 완벽한 건축사 정유진 역을 맡아 빛나는 존재감으로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내면에는 아픔을 가지고 있지만 사소한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완벽함을 보여주며 일은 프로페셔널하게 사랑은 정정당당하게 자신만의 방식으로 인생을 살아가는 여성들이 꿈꾸는 '워너비 매력'을 발산했다. 

전작 SBS '달의 연인-보보경심 려'에서 독기 품은 악녀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강한나는 '그냥 사랑하는 사이'에서 도도한 카리스마에 감춰진 깊은 외로움과 슬픔을 완벽하게 표현해 배우 강한나의 이름을 대중에게 각인시켰다.

이번 드라마에서는 독립 영화를 비롯해 여러 장르의 작품들을 통해 쌓아온 연기 내공과 함께 한층 더 깊고 성숙한 눈빛, 여기에 자신만의 지적인 매력을 더해 정유진이라는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완성했다. 특히 내면의 아픔이 드러나며 선보였던 명품 눈물 연기는 유진의 상황과 감정에 대한 몰입을 높이는 것과 동시에 강한나의 섬세한 감정 연기가 빛을 발하며 방송 후 큰 화제를 모았다. 

또한 김진원 감독의 언급처럼 기본기가 탄탄하고 자기만의 개성을 드러낼 줄 아는 좋은 배우임을 스스로 증명해낸 강한나는 시청자들의 공감과 지지를 얻기 충분했다.

그뿐만 아니라 긴 머리카락까지 자르며 파격 스타일 변신을 감행한 강한나의 헤어와 겨울 코트 스타일링, 귀걸이 등의 세련된 액세서리는 실제 직장 여성들의 데일리룩으로 관심을 모으며 2030 여성들의 스타일 아이콘으로서 외적인 변신까지 성공적으로 이뤄냈다. 

매력적인 캐릭터 소화력으로 '그냥 사랑하는 사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2018 년의 시작을 알린 강한나. 다채로운 매력으로 대중들의 마음까지 홀리며 배우로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는 그의 행보에 더욱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글=장신문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