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자 해동의 [중국 속 한국]입니다.
북 김영남 방한 대표단장 파견
북한이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파견하기로 한 것을 관영매체는 물론 중화권 매체들이 속보로 신속히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관련 뉴스들에서는 시각차가 드러납니다.
미 백악관, 펜스 부통령의 평창올림픽 참관은 북의 매력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것
펜스 미 부통령이 평창을 찾는 데, 이 게 일부 한국 언론에 예측하듯 북미 대화를 위한 게 아니라는군요.
미국의 소리가 백악관 발发로 중문망에서 "펜스 방한은 북한의 매력 공세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2017년 중국과 러시아, 유엔의 북핵제재 어기고 2억 달러(2182억 원) 수익 올렸다고
2일 발표된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과 러시아가 2017년 유엔의 북핵 제재안을 어기고 북과 석탄 등을 거래해 2억 달러 수익을 올렸다고 합니다. 미국의 소리 기사로 전해드립니다.
환추스바오, 북핵 제재 어긴 것에 대해 "쓸 데 없는 정치 공세 말라"
유엔의 보고서가 나오자, 환추스바오环球时报가 4일 자 바로 사설을 썼습니다. "제재 초기 바로 지켜지기 힘들 수 있다"며 "북핵 제재에 구멍이 좀 난 것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이제 그만해야 한다"고 주장했네요.

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이 밖에 둬웨이多维에서 한반도 문제 등과 관련한 기획기사들이 주목됩니다. 평창올림픽이 다가왔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짧지만 달콤한 평화입니다. 취하기만 할 것인지, 변화를 이끌 것인지 우리 하기 달렸다고 생각됩니다.
그게 오늘도 중국의 한국을 똑바로 지켜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해동이었습니다.
글=청로(清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