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인도 몰디브 놓고 갈등 고조

해동의 14일 자 [오늘의 중국]입니다. 

 

영국, 남 중국해에 항모 보낸다.

14일 미국의 소리에 따르면 영국도 남 중국해에 전함을 보내 미국, 호주와 손잡고 순시하면서 지역 안정에 힘쓴다고 합니다.
중국의 군사력이 강해지면서 영국도 한 수 더 한 것인데, 참 남 중국해가 갈수록 뜨거워지는 모양새입니다. 

 

 

환추스바오环球时报가 여기에 사설로 비꼬았습니다. "흔들리는 송곳니", 중국어로 '松动的獠牙'군요. 

 

중국과 인도는 몰디브 사태에 대해 대화가 필요하다.

사실 중국에 정말 급한 문제는 몰디브 사태입니다. 인도가 군을 동원하려는 태세이기 때문입니다. 
중국도 군함을 몰디브에 보낸다는 계획입니다. 
중국 군함이 있는 동안 인도가 몰디브를 공격하면 사실상 중국과 인도 양국은 전쟁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환추스바오가 14일 자 사설로 "중국과 인도는 몰디브 사태에 대해 더 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네요. 

 

 

환추스바오가 대화를 촉구하는 걸 보니, 정말 사태가 심각한 모양입니다. ㅋㅋ
몰디브를 놓고 왜 중국과 인도가 신경전인지 아직 모르시면 다음 기사를 읽어보시면 됩니다.

 

 


 

영국 연구소, 중국의 군사력은 이제 미국에 도전할 수준이다.

영국 국제전략연구소(IISS)가 보고서를 통해 중국이 아시아에서 그동안 여러 지표에서 미국이 삼고 있던 러시아의 도전적 위치를 대체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공군과 해군의 현대화 부문에서 그렇다고 합니다. 

 

올 3월 양회 때 발표될 중국 군비 예산이 갈수록 궁금해집니다.

 

쑨정차이, 톈진 법원에 기소

결국 쑨정차이孙政才가 기소됐습니다. 저우융캉周永康 링지화令计划 등이 기소됐던 톈진天津 법원입니다. 
톈진 법원은 소위 범털들의 전문 재판소로 굳어지는 모양새입니다. 쑨정차이는 15년간 탐욕의 세월을 보냈다고 하네요.
런민르바오人民日报는 "지독한 탐관"이라고까지 평했습니다.
결코 판결이 가벼워 보이지 않습니다. 

http://news.dwnews.com/china/news/2018-02-13/60040809.html
 

중국 당국, 우수 영화만 상영하는 영화관 운영키로

중국 광전총국이 최근 통지를 통해 '런민위안셴'人民院线 규약을 맺은 영화관 5000곳을 운영키로 했다고 합니다.
상업 영화도 상영하면서 중국 당국이 선정한 우수 영화를 전문으로 상영하게 한다고 합니다.
가격 등에서 각종 우대 정책을 써 운영하도록 하겠다고 합니다. 
서방 매체는 영화관을 '지옥'으로 만들겠다는 정책이라고 평하고 있네요. 

 


글=청로(清露)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