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200개 나무조각은 치유의 조각 … 김성복 작가 ‘도깨비의 꿈’展

 5세부터 80세까지 1200여개의 꿈이 조각 작품으로 탄생했다. 10여년 전부터 도깨비를 소재로 꾸준히 작업해온 김성복 작가가 2 21일부터 도깨비의  주제로 다양한 입체 설치 작품을 선보인다.


 작가는 이번 전시를 위해 5세 아이부터 80세 노인에 이르기까지 100여 명의 꿈을 일일히 조사해 10cm 안팎의 나무 조각으로 형상화했다. 지폐로 두툼하게 채워진 지갑, 다이어리, 선물상자, 전화기, 배, 구두 등 일상의 물건뿐 아니라 요술램프와 지니 같이 동화나 신화에 나오는 영웅이나 초인의 형상을 빚은 조각품들이 폭 4m 지름의 원형으로 1층 전시실을 꽉 채우고 있다.
 작가는 아름답고 희망적인 꿈만이 아니라 총이나 칼과 같은 인간의 헛된 욕망을 상징하는 조각품들도 곳곳에 배치했다. 멀리서 보면 현대인들의 꿈의 집합체로, 멀리서 보면 우주의 법리를 담은 원형 불화인 만다라 연상시킨다. 김성복은 이번 작업에 대해 1000여 개의 나무 조각들은 술도 끊고 서서 작업했다면서 저에게는 치유의 조각이라고 설명했다. 

 

 

 

ⓒ news1 

 

 

 

 2층 전시장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한 거대한 크기의 도깨비방망이와 작은 스테인리스 스틸 유닛들이 모여 달려가는 사람을 형상한 <바람이 불어도 가야한다> 만날 있다.
 특히 작가는 금수저, 흙수저라는 단어로 상징되는 젊은이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기 위해 손잡이 부분을 도깨이방망이 모양으로 만든 <꿈수저>도 제작해 전시했다.
 붉은 PVC(폴리염화 비닐)로 제작된 수백개의 도깨비방망이 정원도 전시장 한편에 마련했다. 작가는 오뚝이의 원리를 이용해 제작한 도깨비방망이들에 현대인들이 고난 속에서도 꿈을 잃지 않고 살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설명했다.
 이번 전시는 3 24일까지 서울 종로구 안국동 사비나미술관에서 열리며 다양한 아트 상품도 함께 판매할 예정이다.

기사=장우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