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색 컬래버레이션 … 츄파춥스 운동화, 코카콜라 립스틱

  패션·뷰티 브랜드들과 친근한 식음료 브랜드 만남이 눈길을 끈다‘더 페이스샵’은 음료 브랜드 ‘코카콜라’와 손을 잡았고, 스포츠 브랜드 ‘휠라’(FILA)와 글로벌 롤리팝 브랜드 ‘츄파춥스’(Chupa Chups) 협업에 나섰다휠라는 츄파춥스와 협업한 휠라 X 츄파춥스 콜라보 컬렉션 한국중국홍콩 3개국에서 동시 출시했다. 이번 협업 컬렉션은 휠라 고유의 헤리티지와 스트리트 무드를 바탕으로 한 아이템들에 츄파춥스 특유의 컬러를 덧입혀 탄생시킨 스페셜 라인이다.

 

 


   휠라와 츄파춥스의 아이코닉 로고를 자유자재로 활용, 발랄하고 생동감 넘치는 분위기에 펀(fun) 요소 등을 디자인에 배치했다. 츄파춥스만의 톡톡 튀는 팝 컬러를 휠라 아이템에 투영해 발랄한 매력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휠라 의류, 신발, 모자, 액세서리 등을 필두로 휠라 키즈, 휠라 언더웨어까지 휠라 패밀리 브랜드와 연계해 다양한 아이템을 선보였다.

 

    페이스샵은 코카콜라의 톡톡 튀는 청량감을 그대로 제품에 녹였다. 쿠션, 섀도우, 립스틱, 립틴트 등에 코카콜라의 선명한 컬러감을 표현했다. 아울러 코카콜라의 로고와 레드 컬러의 팝한 감성을 패키지에 적용해 소장가치를 높였다.

이번 컬래버래이션은 피지 잡는 수분 쿠션 오일 클리어 기름종이 팩트 비롯해 코크베어 틴트코카콜라 립스틱코카콜라 립틴트  제품 3종, 코카콜라 모노 아이즈  베이스 제품부터 색조 제품까지 다채롭게 구성됐다. 특히 립 3종은 비비드한 컬러감과 바를 때마다 기분이 좋아지는 달콤한 콜라 향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코카콜라의 감성이 담긴 디자인도 눈길을 끈다. ‘코크베어 틴트’엔 콜라병을 들고 있는 코카콜라의 마스코트 ‘폴라베어’가 담긴 귀여운 스노우볼이 부착됐다. ‘코카콜라 립틴트’는 상쾌한 콜라처럼 수분감 있는 텍스처가 속은 촉촉하고 겉은 보송하게 마무리하는 제품이다틴트 팁을 스트라이프 빨대와 같은 디자인으로 위트있게 표현했다.

 

코카콜라 모노  아이즈는 콜라처럼 경쾌하고 스파클링한 느낌을 콜라 레드, 스파클 오렌지, 칠리 브라운 등의 컬러로 표현했다. 데일리 컬러부터 포인트 컬러까지 다양하게 구성돼 다채로운 아이 메이크업을 연출할 수 있다

 

 기사 = 손일연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