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본격적으로 무역전에 돌입했다.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500억 달러(약 53조원) 규모의 고율 관세 카드를 꺼내들자 중국도 유사한 규모의 맞대응을 선택했다. 미국 언론들은 이에 대해 중국이 선거를 앞둔 미국 유권자들을 자극해 백악관을 압박하는 전략을 쓴 것이라 분석했다.
중국 4월 4일 대두, 자동차 등 상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 밝히며 미국에 반격을 시작했다. 가장 큰 피해자는 농민들로 지적되고 있다. 중국이 미국 대두 산업의 최대 수출 지역이기 때문. 미국 농무부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해 미국이 중국에 수출한 대두는 140억 달러(14조 9688억 원)에 달한다. 대두뿐만 아니라 밀, 옥수수까지 미국 농업 전반이 미중무역전쟁이 야기할 후폭풍에 휘말릴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것은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미국 중서부 농업지역이 러스크 벨트(쇠락한 공업지대)와 함께 '트럼프 컨트리'라 불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텃밭이라는 점이다. 워싱턴포스트는 "중국은 미국 농민들을 자극하고 흔들어 그들로 하여금 백악관에 압력을 행사하고자 한다"는 푸단대학 국제문제연구센터 션 딩리 교수의 말을 인용하며 중국이 대두 등 물품에 25% 가량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정치적인 문제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제공=news1
이를 인식한 듯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은 민심잡기에 나섰다. 퍼듀 농무장관은 오하이오 주에서 열린 주민 토론회에서 '중국과의 무역 분쟁에서 농민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확약이 있었다고 밝혔다.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도 중국에 대한 관세 명령이 실제로는 시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기술적으로 미중 양측이 관세를 제시한 것 뿐이라며 아직 시행된 것이 아니고 협상의 일환이라는 것이다. 폭스 뉴스는 트럼프 정부는 선거를 위해서는 농민들에게 "지금의 고통은 '잠시'일 뿐 반드시 해결 될 것"이라는 믿음을 심어주어야 한다고 전했다. 기사=이동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