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불륜현장 파출부

 

출근해 근무를 하던 남편이 집에 전화를 했다. 엉뚱한 여자가 전화를 받는다.

 

 

 

남편 : 누구시죠?

 

여자 : 전 파출부입니다. 주인 아줌마는 지금 방에서 쉬고 계십니다.

 

남편 : 아 그렇군요. 주인 아줌마 좀 바꿔주세요.

 

파출부 : 아 안됩니다. 부인께선 지금 남편과 함께 쉬고 계시는데, 방해를 하지 말라고 하셨어요.

 

 

 

남편이 심장이 뛴다. 아니 남편이라니

 

 

 

남편 : 아 제가 남편인데, 지금 누구랑 잔다는 건지 모르겠군요. 아마 와이프가 바람이 난 모양인데, 내가 지금 달려갈 테니. 둘을 꼼짝 못하게 감시해주세요.

 

파출부 : 전 이런 일에 말려들기 싫어요.

 

남편 : 아 제가 200만 원을 드리죠. 꼭 부탁드립니다. 지금 둘이 그 짓(?)을 하고 있으면 바로 몽둥이로 때려 기절을 시키세요. 그리고 부엌 옆 다용도실에 있는 끈으로 묶어 주시면 됩니다.  전화 끊지 마시고, 지금 실행을 해주시면 200만 원이 아니라 500만 원을 드리죠.

 

파출부 : 알았어요. 그럼 잠시만요.

 

                                                                       

 

잠시 뒤 남편의 말 그대로 한 파출부가 다시 전화기를 든다.

 

 

 

파출부 : 지금 둘을 기절 시켰어요. 그런데 이상하게 여기 다용도실이 없네요. 아무리 찾아봐도 다용도실이 없어요.

 

남편 : ?!!! 그럼 전화번호가 444-44XX 가 아닌가요?

기자=김샛별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