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관영 매체, 홍콩에 "'애국가 법'에 반대하면 인민의 적"이라고 경고

해동의 15일 자 [오늘의 중국]입니다. 

중국 류허 부총리, 15일부터 5일간 방미 무역협의 진행

미중 무역전 중재를 위해 류허 부총리가 15일부터 무려 5일간 미국을 찾습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ZTE에 대한 미국 내 업무 재계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류허 부총리 일정에서 뭔가 새로운 변곡점이 마련될지 주목됩니다. 

 

 

 

 

 

 

 

 

 

 

각국 언론이 중국 ZTE의 영업 재계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나섰습니다.
BBC 중문망 등 외신에 따르면 ZTE는 미국 업체들과 사업이 워낙 광범위하게 많아

미국 피해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가장 재미있는 기사는 트럼프 일가의 중국 덕에 보는 혜택입니다.
트럼프 일가가 인도네시아 부동산 투자를 했는데, 이게 중국 일대일로 투자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고 합니다.
중국이 트럼프가 투자한 인도네시아 부동산 주변을 대거 개발한다고 하네요. 

그러고 읽으니 다음 기사가 아주 다른 의미로 들립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기사입니다.
"ZTE는 미국에서 막대한 부품을 구매하고 있다. 이는 현재 우리가 중국과 대화하고 있는 무역협의는 물론, 나와 시진핑 주석의 사적 관계를 반영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 "홍콩과 기술 협력하라!"

미국에서 ZTE가 타격을 받은 뒤 중국에서 IT 산업의 마이크로칩 제조 기술 확보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습니다.
홍콩의 기술자 24명이 시진핑 주석에게 편지를 보내 '기술보국'의 희망을 전했습니다.
시 주석이 이에 당국에 "홍콩과 기술 협력하라"라고 지시했습니다. 

미 전문가, 중국의 소시지 잘라먹기 전략을 중단시켜야.

중국의 타이완에 대한 위협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은 현재 야금야금 위협의 수위를 높여 원하는 것을 챙기고 있습니다.
서방에서는 이 같은 전술을 '소시지 잘라먹기 전술'이라고 부릅니다.
미 전문가가 미국이 나서 이를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법'에 반대하면 인민의 적?

중국 영향력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게 타이완과 홍콩입니다.
특히 홍콩에 대한 중국 언론들의 압박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이 홍콩에도 도입하려는 소위 '국가법'에 반대를 하자, 중국 주요 매체들이 인민의 적이라고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여기서 국가는 애국가를 의미합니다. 

중국 당국, 민간 교회의 원촨 지진 10주년 기념행사 무력 봉쇄

중국에서 민간 집회 행사는 대단히 민감합니다.
그런데,
원촨 대지진 10주년 기념행사마저 중국 당국이 힘으로 막았다고 합니다.
추우성약귀정교회의 주도로 지난 11일 진행되려던 행사였다고 합니다.
당국은 목사와 회원 수백 명을 구금한 뒤 풀어줬다고 하네요. 

해동이었습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