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기술 비전 대대적 선전 등

해동의 28일 자 [오늘의 중국]입니다. 

"기술 비전으로, 중국의 꿈을 이루자!"

중국 주요 언론들이 일제히 시진핑 주석의 기술 중시 발언을 1면 톱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기술 관련 미국의 ZTE 봉쇄 조치로 한 방 맞자, 
중국은 대대적인 첨단 기술 확보 선전, 선동에 나서고 있습니다.
5월 중에 '전국과기창신대회', '양원원사대회', '중국과협9대' 등을 
동시 개최해 전국적인 분위기를 돋우고 있습니다. 

중국 지린성 쑹위안에 5.7급 지진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28일 오전 1시 50분 지린 쑹위안에서 5.7급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집 1000여 채가 크고 작은 피해를 입었다고 합니다. 아직 인명피해는 집계되지 않고 있습니다.
장춘과 하얼빈에서도 진동을 느꼈다고 합니다. 

인명피해가 크지 않기를 기원합니다.


중국 학교, 이미 AI로 학생들 작문 체크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중국 일부 학교는 이미 AI로 학생들의 작문 숙제를 점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점수는 아직 AI에게 맡기지 않는다고 하네요. 

 

 

 

 

 

 

 

 

 

 

 

재미있군요. 언젠가 AI가 글 쓰고, 읽어주는 시대가 온다더니 …. 

그런데 글을 써보지 않고 어떻게 글이 늘죠?
글을 쓸 줄 모르면서 어떻게 생각을 하죠? 
진정 AI 시대가 두려운 이유입니다.

메르켈 독일 총리, 소득 없는 방중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의 방중 성과가 적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무역 등의 이슈가 많았는데, 중국을 움직이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요즘 중국이 독일 말을 듣나요? 미국 말도 안 듣는데. 

아베 총리 러시아에서 왕치산 부주석과 회동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러시아에 가서 알찬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둬웨이에 따르면 러시아 경제 포럼에 참석해 왕치산 중국 부주석과도 회동했다고 합니다.
이런 국제 행사 우리도 참여하면 좋을 텐데요. 

 

 

 

 

 

 

 

 

 

 

 

 

 

 

설마 초대를 못 받지는 않았겠죠? 

중 해군, 초대 못 받아도 미 주도 환태평양 훈련 장소에 간다.

최근 미군이 초대를 취소했습니다.
중국의 환태평양 국제군사 훈련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그래도
중국 해군은 간다고 합니다. 

 

 

 

 

 

 

 

 

 

 

 

 

 

 

미 해군 함정이 다시 남중국해 진입한 사실도 있습니다. 

침략 일본군 병원 간호사 실화를 바탕으로 한 드라마, 2회 만에 종영 논란

타이완은 일본을 적대시하지 않습니다. 
실제 청나라의 침략에서 섬을 해방해줬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꽤 많습니다.
역사적으로 청나라는 타이완을 복속 시킨 뒤 다시 배반하는 게 두려워,
현지인을 소개합니다. 말도 못할 탄압을 합니다.
어쨌든 그런 타이완에서 최근 제작한 드라마가 말썽입니다.
침략 일본군의 군 병원에서 간호사를 했던 중국 여인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드라마입니다.
중국에서 "조국을 팔아 개인의 명예를 샀다"라고 욕을 한다고 하네요.
타이완에서 방영 2회 만에 종영됐는데, 일각에서는 다시 방영하라고 요구해 논란이라고 합니다. 

 

 

 

 

 

 

 

 

 

 

 

 

 

 

해동이었습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